尹 정부 첫 경찰청장, 수사권 조정 마무리지을 '수사통' 주목

경찰청. 연합뉴스
경찰청. 연합뉴스

장관급 격상이 예고된 경찰 조직의 차기 수장(首長)으로 수사권 조정을 이끌 ‘수사통’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3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김창룡 경찰청장(58·경대 4기)의 임기는 오는 7월 만료된다. 이에 따라 다음 경찰청장에 대한 임명권은 오는 5월10일 취임하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행사할 예정이다. 경찰공무원법상 차기 경찰청장(치안총감) 후보군은 바로 하위 계급에 있는 치안정감 7명으로 압축된다.

역대 경찰청장 22명의 직전 보직을 보면 수도를 관할하는 서울경찰청장 출신이 12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만 현재 경찰 조직 안팎으로 나오는 차기 경찰청장의 핵심 요건은 수사역량 강화를 이끌 인물이다. 후보군 중 수사통으로 꼽히는 치안정감은 최승렬 경기남부경찰청장(59·간후 40기)과 이규문 부산경찰청장(58·경대 4기)이다.

최승렬 청장은 본청에서 특수수사과장, 수사과장, 수사국장까지 역임한 대표 수사통으로 국가수사본부 출범 당시에도 공석이던 본부장직 대행을 맡아 차질 없이 임무를 수행했다는 평을 받는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불거진 투기 사태에서도 ‘정부합동 특별수사본부’ 특별수사단장을 맡기도 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구성에서도 경찰에서 파견한 5명 중 3명이 강원도 출신이거나 강원지역 경찰로 근무한 이력이 있어 ‘강원경찰청장’을 지낸 최 청장에게 유리한 구도가 보인다. 총괄보좌역인 ‘윤핵관’ 이철규 의원도 강원도 지역구다. 최 청장은 1963년생으로 내년도 정년에 걸리지만, 9월생이라 연말까지 근무하는 데 큰 무리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본청 수사국장까지 지낸 이규문 부산청장 역시 손꼽히는 수사통이다. 다만 후보군 중 이철구 경찰대학장(57·경대 4기)과 함께 경대 4기라는 점이 장애물로 평가된다. 직전 민갑룡 경찰청장에 이어 현 김창룡 경찰청장까지 모두 경대 4기로 동기인 탓에 인사 적체 우려에 대한 벽을 넘어야 한다.

역대 경찰청장 22명의 이력은 서울경찰청장과 경찰청 차장에 힘을 싣고 있다. 관례상 가장 유리한 구도에 있는 최관호 서울청장(56·간후 39기)은 본청 자치경찰추진단장부터 경무인사기획관, 기획조정관을 두루 거친 대표 ‘기획통’이다. 진교훈 경찰청 차장(55·경대 5기)은 본청 정보국장을 지낸 ‘정보통’으로 꼽힌다.

여야 구분없이 정보경찰에 대한 ‘권한 축소’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과 현 경찰청장이 경대 출신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두 유력 후보 중에선 최관호 청장이 한 걸음 앞선 모양새다. 다만 보수 정권이 들어선다는 점은 대표적인 호남라인으로 꼽히는 두 사람 모두에게 변수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

대표적인 ‘홍보기획통’ 유진규 인천경찰청장(55·경대 5기)도 빼놓을 수 없는 복병이다. 서울청 홍보담당관에 이어 본청 홍보담당관까지 역임한 유진규 청장은 언론 대응에 유연하며 조직 내에서 강한 소통력이 강점으로 꼽힌다. 그러나 현 청장에 이어 부산·경남(PK) 출신이라는 점은 지역 안배상 불리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남구준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54·경대 5기) 역시 대부분의 경력을 수사 분야에서 보냈지만, 국수본이 출범 1년을 갓 넘겼다는 점에서 본부장을 바꾸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평이 나온다. 국가수사본부장의 임기는 2년 단임제로, 남 본부장의 임기는 내년 2월 만료된다.

한편 윤 당선인은 경찰청장의 장관급 격상을 약속했다. 여권에서도 지난 2020년 6월 치안총감이 장관급 공무원의 봉급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경찰공무원법 개정안을 발의한 적이 있던 만큼 훈풍이 불고 있지만, 청장 승격에 따른 하위 계급의 연쇄적인 직위 및 임금 인상 문제가 걸려 있어 결국 ‘예산’이 관건일 것으로 보인다.

양휘모·장희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