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요양시설 내 노인 응급환자들이 중·대형병원의 문 턱을 넘지 못하고 사지로 내몰리고 있다. 요양시설에서 발생하는 응급환자들의 중·대형병원 전원이 사실상 차단되고, 코호트(동일집단)격리된 요양시설에서는 격무에 지친 의료진 이탈까지 이어지면서 의료와 돌봄체계가 무너지고 있다.
요양시설 내 노인 응급환자를 위한 의료 시스템 구축과 돌봄인력 지원 등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
인천지역 중·대형병원 대부분이 코로나19 거점병원으로 전환했거나, 응급실과 중환자실 포화 등을 이유로 요양시설 응급환자 전원을 거부하고 있다. 중·대형병원으로 옮겨 치료를 받으면 위기를 넘길수 있는 요양시설 내 노인 응급환자들이 응급조치도 받지 못한채 안타까운 임종을 맞고있다.
‘현재 요양병원은 날마다 환자가 죽어나가는 지옥이다’, ‘눈 앞에서 환자의 숨이 넘어가는데 받아주는 병원이 없어 가족들에게 임종이라도 지키라 전하는 일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전부다’. 한 요양병원 관계자의 처절한 호소가 심각한 상황의 단면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요양병원들은 병원대로 코로나19 확진자 급증과 무차별 코호트 격리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천 요양병원 67곳 중 30곳이 현재 코호트격리 상태다. 이들 병원은 코로나19 확진자 급증과 격무에 따른 간호사와 간병인 이탈로 환자 진료 공백이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요양병원들이 제 기능을 잃게되면 그 피해는 노인 환자와 가족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간다. 특히 수많은 노인 응급환자와 가족들은 서로 만나지도 못한채 임종을 기다려야 하는 참담한 처지에 빠지게 된다.
인천지역 코로나19 사망자 852명(22일 기준) 중 최근 사망한 2명을 포함한 절반 정도가 요양시설 내 노인 확진자다. 이러한 상황인데도 보건당국과 인천시는 요양시설과 시설 내 노인 환자 관리에 엄두도 못내고 있다. 보건당국의 요양시설에 대한 인력 지원 등이 한계에 달했고, 인천시도 요양시설 내 코로나19 확진 사망자 수를 파악하는 수준이다. 이쯤이면 우리사회가 노인 응급환자들의 생명줄을 스스로 놓아 버리는 셈이다. 일선 기초자치단체와 보건소, 의료계 관계자들도 이 같은 상황을 알고 있지만 행정력과 인력, 의료시설 부족 등으로 뚜렷한 대안이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 정도의 핑계로 수많은 노인의 생명줄을 놓을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 순간에도 요양시설 내 수많은 노인 응급환자가 생사기로에서 사투를 벌이고 있다. 이들의 생명줄을 잡아줄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적어도 병원 문 턱을 넘지 못해 목숨을 잃는 일은 없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