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오르는 게 없지만 배달비는 정말 감당이 안되는 수준이라니까요.”
배달비가 외식업계 자영업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가운데 배달비의 추가 상승이 예상되면서 경기도내 자영업자들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더욱이 배달 플랫폼의 비용 상승이 장기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들의 불만 역시 커지는 모습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배달비 수수료 체계를 개편한 쿠팡이츠에 이어 배달의민족도 수수료 개편에 나섰다. 배달료 산정 기준을 현행 ‘직선 거리’에서 ‘예상 이동 경로에 기반한 이동거리’, 즉 실제 이동 거리로 변경하겠다는 것인데, 경기도에는 다음 달 5일부터 도입된다.
현행 배달의민족의 배달료 산정 기준을 보면 500m 이내는 3천원, 500m~1.5㎞ 3천500원, 1.5㎞ 초과는 500m당 500원의 추가 할증이 붙는다. 여기에 날씨, 주말 등의 추가 요금이 더해지는 방식이다.
다음 달 5일부터는 실제 이동 거리가 적용돼 675m 미만까지는 3천원, 675m~1천900m는 3천500원, 1천900m 이상은 100m당 80원이 추가로 부과된다.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이동 경로가 직선거리보다 훨씬 멀기 때문에 새 산정 기준의 늘어난 거리를 감안하더라도 배달비가 크게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더욱이 업체별로 할증 기준도 제각각인 만큼 어떤 추가적인 요소들이 더해질지 예상하기 어렵다는 것도 자영업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같은 소식을 접한 자영업자들은 날로 치솟는 배달비가 감당하기 힘들 처지에 이르렀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수원특례시에서 국수집을 하는 A씨(64·여)는 “지금도 고객과 배달비를 분담해서 8천원짜리 국수 한 그릇을 배달판매하면 남는건 고작 1~2천원가량”이라며 “부담이 얼마나 더 늘지도 모르고 결국 소비자들에게 부담을 전가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털어놨다.
그렇다고 배달비를 마냥 소비자에게 전가시키기도 쉽지 않다. 화성 동탄에서 개인 치킨집을 운영하는 30대 B씨는 배달비는 대형 프랜차이즈와의 경쟁 요소 중 하나인데, 무작정 배달비를 올리면 손님이 끊길 수 있어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최근 배달비 안정화 목적으로 시행한 ‘배달비 공시제’ 역시 실효성 문제와 제공 정보 부실 등으로 이렇다할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배달비 공시제 조사 주체인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관계자는 “업계의 목소리를 수렴하고 지적받고 있는 부분들을 보강해 혼란스러운 배달서비스 시장의 배달비 인하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한수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