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노력에 동참하지 않는다면, 또다시 인천시민의 고통을 외면한다면 시장인 저부터 비환경적인 쓰레기 차량을 막아세울 것입니다. 2025년 수도권매립지는 문을 닫습니다.”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나오는 쓰레기마저 인천으로 몰려드는 현실. 바로 인천의 아픈 손가락 중 하나인 수도권매립지의 현주소다. 쓰레기에서 풍겨나오는 악취만으로도 근처에 다가가기 쉽지 않은 수도권매립지의 한복판에 시민을 대변하는 인천시장이 자리했다. 발생지 처리 원칙이 깨진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서다.
박남춘 시장은 29일 수도권매립지를 방문한 자리에서 산처럼 쌓인 쓰레기더미에 올라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종료의 의지를 드러내고 수도권에서 몰려드는 쓰레기로부터 자유로운 ‘환경특별시 인천’을 대내·외에 천명했다.
박 시장은 이 자리에서 “줄지어 매립장으로 들어가는 트럭들을 바라보며 쓰레기 독립을 선언하던 그날을 떠올렸다”며 “시민과 인천의 미래를 위해 포기할 수 없는 일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친환경 자체 매립지 조성과 소각장 확충을 추진하며 서울시, 경기도에게도 발생지 처리 원칙에 맞는 대안을 찾으라고 당당히 외쳤다”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강하게 협의를 주도한 결과로 2025년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2026년 건설폐기물 수도권매립지 반입 금지 등 환경부의 전향적인 조치를 이끌어 냈다”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또 “서울시도 발생지 처리원칙 준수, 친환경 처리방식 실현을 위한 결심을 해달라”며 “경기도는 이미 쓰레기를 자체 처리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수도권매립지와 같은 비환경적 매립지를 조성하라는 것은 아니다”며 “악순환의 고리는 인천시민의 희생을 끝으로 끊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이제 필요한 것은 각 지역이 소각장과 최소한의 소각재만 묻는, 남양주 에코랜드와 같은 소규모 친환경 자체매립지를 조성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