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순수하고 자유로운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이들의 전시가 열렸다. 오는 24일까지 화성 소다미술관에서 진행되는 <PALETTE : 우리가 사는 세상>展이다.
이번 전시는 강선아·김기정·김현우·금채민·이다래·정도운 등 6명의 발달장애예술인이 참여해 예술의 언어로 사람과 세상을 잇는 소통에 대해 말한다. 팔레트 위에서 다양한 색이 모이고 섞이듯 전시를 통해 장애를 떠나 경계와 편견 없는 세상에서 모두 함께 살아가는 세상을 보여준다,
전시장에 들어서기 전 6명의 작가의 소개와 작업과정을 한 번에 보여주는 영상이 관람객들을 반긴다. 영상 속 작가들은 ‘살아간다’, ‘모두 다 함으로써 살아가보자’라는 등의 말을 하며 번화가, 작업실 등 자신이 보고 느낀 세상을 보여준다.
영상을 뒤로 한 채 전시장에 들어서면 정도운 작가의 마커 드로잉 작품 35점이 펼쳐진다. 정도운 작가는 종이 위에 마커로 인물을 그리고 인물을 둘러싼 정보들을 적어 내려간다. 정 작가는 작업을 통해 인물들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드러내기도 하지만 작품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기도 한다. 정도운 작가 작품 옆 강선아 작가의 작품 ‘그림 그리는 강선아’도 작가 자신을 표현한 작품이다. 강선아 작가는 어릴 적부터 빈 벽만 보면 그림을 그렸다. 펜을 장난감 삼아 놀면서 우리가 볼 수 없는 것을 보고 기억해 강 작가만의 캐릭터들을 그려낸다. 그가 만든 캐릭터는 그늘도, 미움도, 경계도 혐오도 없다. 재단되지 않은 시선과 수순한 삶의 영역이 작가의 시선을 대변한다.
김현우 작가의 작품도 눈에 띈다. 김 작가의 작품은 ‘하루를 빼곡히 기록하는 문서’로 설명할 수 있다. 그의 문서 속엔 수학공식, 친구들의 이름, 도형, 음표 등 자신의 좋아하는 것이 담겨 있다. 여기서 선은 변형시키고 색을 더하며 이름을 빼면서 차츰 작품으로 완성시킨다. 이렇게 그가 완성한 작품은 경계 없는 세상이 되고 수많은 이들의 꿈과 이야기가 담겨있다.
이외에도 전시에선 금채민 작가의 낭만적인 감성이 담긴 ‘나의 시’, 밤하늘의 꽃, 나비, 새들을 관찰한 이다래 작가의 ‘밤하늘 아래 춤추는 꽃과 목각인형’, 조용히 흘러가는 세상을 그린 김기정 작가의 ‘Veke 1’ 등 순수한 시선으로 세상을 보고 다양한 감각을 동원해 작품을 그린 작가들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소다미술관 김소월 큐레이터는 “이번 전시는 우리 사회에 만연한 장애에 대한 편견과 차별에 대해 생각해 보고 모두가 존엄한 삶을 살기 바라는 마음으로 기획됐다”며 “장애, 비장애를 구분하지 않고 예술 작품 자체에 담겨있는 메시지를 감상하는 시간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