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정 “교육 정책 없애거나 바꾼다면 교육적 해명 있어야”

이재정 교육감이 13일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기자 질문에 답변을 하고 있다.

“교육 정책을 정무적·정치적 판단에 의해 중단시키려 한다면 헌법정신에 있는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하는 것입니다”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13일 경기도교육감 관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교육 공약에 대해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교육감은 “당선인의 교육정책에 대해 알지 못한다”면서도 “교육계의 공감대와 경험 속에서 나온 자사고, 특목고 폐지와 학점제를 없애거나 바꾼다면 이것에 대한 교육적 해명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는 이 교육감이 지난달 3선 불출마 선언을 한 후 처음으로 가진 자리로, 이 교육감은 6월 퇴임을 앞두고 그간의 소회를 털어놨다.

이 교육감은 “임기 중 가장 어려웠던 점은 세월호의 비극을 어떻게 교육으로 풀어갈까, 슬픔과 좌절을 넘어서 새로운 활력과 미래의 희망으로 나아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하는 과제였다”며 “단원고 정상화와 기억교실 문제도 그 중 하나였는데 최근 4·16민주시민교육원에서 여러 프로그램이 활발히 진행되는 것을 보고 보람을 느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임기 중 아쉬웠던 점으로는 9월 학기제와 교사들의 업무 과중화를 덜기 위한 안식년 제도를 도입하지 못한 것을 꼽았다. 이 교육감은 “글로벌 시스템에 들어가려면 9월 학기제로 바꿔야 한다는 생각에는 지금도 변함이 없다”면서 “코로나19가 시작될 때가 기회였는데 그걸 놓치고 이루지 못한 게 아쉽다”고 밝혔다.

퇴임 이후 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현재로서는 특별히 정해진 게 없다”며 “일단 휴식을 취할 생각”이라고 답했다.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