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경기도지사 예비후보로 나선 김은혜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은 19일 연합뉴스TV 주관으로 열린 ‘경기도지사 경선 3차 TV토론회’에서 GTX 민자 유치, 공공개발이익 도민환원제를 두고 첨예한 대립각을 세웠다.
두 주자는 2차 TV토론회에서 한차례 맞붙었던 GTX(광역급행철도) 민자 유치를 다시 화두로 올렸다.
유 전 의원은 “GTX가 민자로 추진된다면 결국 서민 부담으로 돌아올 것”이라며 “경기도지사가 된다면 GTX의 국비 추진을 최우선으로 하겠다”고 포문을 열었다.
이에 김 의원은 “산적한 현안들로 GTX는 오는 2027년까지도 준공이 어려울 수 있다”며 “더 늦춰질 가능성도 있는 상황에서 국비로 추진한다면 오히려 사업의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고 반박했다.
이 같은 답변에 유 전 의원은 “사업 속도가 문제는 아니다. 중앙정부의 의지가 문제”라며 “민자 유치시 수익성 보장이 필수다. 지금 비슷한 사례로 일산대교, 미사대교 등이 통행료 탓에 시끄러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통행료는 모두 무료화해야 한다. GTX 역시 급하다고 민자로 유치하면, 추후 국비로 가자는 의견이 반드시 나온다”고 지적했다.
이날 주자들은 공공개발이익 도민환원제를 두고도 엇갈린 입장 차이를 보였다.
“공공개발이익 도민환원제 시행에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유 전 의원의 질문에 김 의원은 “당연히 시행돼야 한다. 공공개발 이익은 당연히 사업주체와 혜택 대상이 되는 주민이 가져가야 한다”고 답했다.
이에 유 전 의원은 “이 정책은 이재명 전 도지사가 추진했던 것이다. 특히 대장동 의혹과 관련된 핵심 프로세스”라며 “이재명 전 도지사가 그럴듯하게 포장한 정책일 뿐, 폐지하는 게 맞다”고 강 조했다.
그러자 김 의원은 “대장동의 기원은 공공개발이익 도민환원제가 아니다”라며 “도시개발법상 관련 규정이 없는 맹점을 파고든 게 대장동”이라고 맞섰다.
한편 국민의힘은 오는 20일부터 이틀간 경선 투표(책임당원 의견 50%·도민 여론조사 50%)를 실시해, 오는 22일 경기도지사 최종 공천을 확정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