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천 오정동 개발사업, 군부대 오염정화가 우선이다

부천시 오정동 도시개발사업 부지에 포함된 옛 미군부대의 토양오염 문제가 불거졌다. 군부대 부지(33만여m²)에 대한 토양오염 기초조사 결과, 전체 부지의 30%가 오염된 것으로 추정됐다.

부천시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오정동 도시개발사업은 군부대와 주변 지역을 포함해 44만여m² 부지에 4천 세대 규모의 공동주택을 짓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시는 원활한 교통환경을 제공하는 ‘소통하는 도시’,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친환경 생태건강 도시’, 미래형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첨단 스마트시티’로 개발 콘셉트를 정했다. 2026년까지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다.

하지만 군부대가 주둔하던 곳에서 토양오염이 확인돼 정밀 진단과 함께 정화작업이 필요하다. 군부대 토양오염 정밀조사는 개발 전 반드시 거쳐야할 절차다. 오염 정도에 따라 정화작업이 늦어지고, 개발 일정에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다.

해당 부지에는 ‘캠프 머서’라는 미군부대가 1953년부터 주둔했다. 이를 1985년 우리 군이 인수받았다. 도심 속 군부대는 오정동 지역을 동서로 가로막아 지역발전에 걸림돌이 됐다. 도로망 단절에 따른 교통 불편, 군 작전훈련으로 인한 소음·분진 등 주민들의 피해가 컸다. 부천시는 군부대 이전을 지속적으로 건의했다. 주민들과 시의 노력으로, 2019년 시와 국방부가 부대 이전 합의각서를 체결했다. 오정지역 주민의 숙원인 군부대 이전이 이뤄진 것이다.

군부대 이전으로 낙후지역 개발과 지역경제 활성화 등 지역주민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특히 교통시설, 도시공원 등 도시 인프라 확충과 스마트시스템 도입, 주변지역 연계개발로 신·구도심 간 균형발전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큰 숙제가 남았다. 토양오염 정밀조사와 함께 그 결과에 따른 정화작업이다. 대부분의 미군부대가 유류탱크 등을 보유해 반환후 토양과 지하수 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곳에서도 토양오염이 확인됐다. 지난해 하반기 332개 구역으로 나눠 기초조사를 시행했는데 30%에서 토양오염이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부천시가 올해 정밀조사를 하고, 내년부터 정화작업을 한다는데 당연한 조치다.

이번 기초조사에선 오염물질의 정확한 종류와 농도 등은 드러나지 않았다. 토양오염 정밀조사와 정화작업은 반드시 필요하다. 작업과정과 결과는 여과없이 주민에 공개해야 불안감을 없앨 수 있다. 사업의 착공은 정화작업을 마친 이후에 진행해야 한다. 주민 건강과 직결된 사업이니 만큼 세심하게 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