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여성 A씨는 6개월 전부터 사타구니 안쪽에 통증을 느끼기 시작했다. 필라테스를 할 때나 양반다리를 할 때면 통증이 간헐적으로 나타났다. 단순한 근육통으로 생각하고 파스나 찜질로 치료를 대신했지만 통증은 엉덩이 부위까지 번졌고 걸을 때도 통증이 느껴져서 불편했다. 결국 전문의를 찾아가 진찰을 받은 결과 고관절 연골손상 진단을 받았다.
움직임이 활발한 봄철이 되면서 몸 곳곳에서는 위험 신호를 보낸다. 고관절은 골반과 다리를 이어주는 중요한 관절로 골반을 통해 전달되는 체중을 지탱하고 걷기와 달리기 같은 다리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에 갑자기 움직임이 많아질 때면 통증이나 어긋남을 느낄 수 있다.
허동범 연세스타병원 병원장은 “엉덩이·사타구니 쪽 통증을 허리디스크 등의 척추 질환이라 의심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사타구니 안쪽의 통증이 특징인 고관절 질환은 관절와순이나 연골 손상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고관절은 비교적 안정적인 구조로 되어 있고 운동 범위가 큰 관절이다. 그러나 외력에 의해서 관절이 빠지거나 관절 주의의 골절이 생길 수 있고 퇴행성관절염이나 골조직의 혈액 순환 장애로 무혈성괴사도 발생할 수 있다.
골다공증을 앓고 있는 사람은 고관절 골절에도 유의해야 한다. 침대에서 내려오다가 미끄러지거나, 주저앉는 등의 가벼운 외상만으로도 발생되기 쉽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대표적인 증상은 무엇일까. 골반 바깥쪽 부위의 통증, 엉치 부위 통증, 사타구니(서혜부) 통증이 있고 일상생활 중에는 양반다리를 할 때의 불편함, 계단을 이용할 때의 심한 통증 등을 느낄 수 있다.
질환 초기에는 체외충격파, 약물치료, 물리치료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다만 연골 손상이 진행됐다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을 해야 한다.
고관절 퇴행성관절염 말기인 경우 다리를 움직이기 어렵거나, 다리 길이가 비대칭이 됐거나, 심한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인공관절 치환술을 고려해야 한다.
허동범 병원장은 “양반다리로 앉는 자세보다는 쇼파나 의자에 앉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다. 이러한 습관은 고관절의 건강 뿐만 아니라 무릎의 건강에도 좋은 습관”이라며 “근력 운동을 규칙적으로 체력에 맞춰서 하고, 통증이 생기면 운동을 중단하고 병원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