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기초의원 447→463명으로 … 화성은 4명이나 늘어

경기도 기초의회 선거구 획정 밑그림이 그려진 가운데, 도내 11개 시·군의 의원수가 늘어난 반면, 5개 시·군의 의원수는 줄어 희비가 엇갈렸다.

일부 지자체가 조정 요구안을 제출하는 등 진통 끝에 마련된 선거구 획정안은 오는 28일 경기도의회 의결에 따라 최종 확정된다.

2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2일 시·군 의회 의원 정수를 447명에서 463명으로 늘리는 내용이 담긴 ‘경기도 시·군 의회 의원 정수와 지역구 시·군의원 선거구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 조례안’을 입법예고했다.

의원 정수 증감내역을 보면 11개 시·군에서  21명이 늘었으며, 화성시 의원 정수가 가장 크게 증가했다. 가·나 선거구에서 각 1명씩, 아선거구에서 2명이 늘어 총 4명이 증가했다. 이어 용인·양주가 3명씩, 시흥·김포 2명, 고양·파주·광주·하남·구리는 1명씩 늘었다. 예로 파주시의 경우 가·다 선거구가 3인 선거구에서 2인 선거구로, 3인 선거구의 마 선거구가 추가되면서 최종 1명이 늘어난 셈이다.

반면, 성남·부천·안산·안양·광명은 의원 정수가 각 1명씩 감소해 총 5명이 줄었다. 성남시의 경우 라·사·하 선거구가 3인 선거구에서 2인 선거구로 줄고, 카·타 선거구는 2인 선거구에서 3인 선거구로 늘었다.

의원 정수가 줄다 보니 일부 지자체에선 선거구 획정안에 대한 반발 기류가 흐르기도 했다.

부천시는 개정 초안에서 의원정수가 기존 28명에서 한 명이 줄자, 지난 20일 현행 의원 수를 유지해달라는 조정 요구안을 도에 제출했다. 다만, 안산·광명은 현직 단체장이 공천 컷오프되면서 선거구 획정보다는 공천 결과에 집중한 모양새다.

이런 가운데 용인·남양주·구리는 중대선거구제 확대 시범 실시지역으로 지역 국회의원의 재량에 따라 선거구 획정안과는 별개로 기초의원 수를 각 1명씩 증원할 수 있게 됐다.

도 관계자는 ”아직 선거구 획정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라며 “오는 26일쯤이면 선거구 획정안을 도의회에 최종 전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오는 26일 도의회에 조례안을 전달, 도의회는 오는 27~28일 시·군의원 선거구 획정을 위한 원포인트 임시회 열고 의결하게 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