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비노조 “교육 당국, ‘허상’ 대체인력풀에 대한 대책 마련하라”

image
지난 3월30일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경기지부 포함 3개 노조로 구성된 경기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기자회견을 열고 대체인력 문제를 방관하는 교육 당국을 규탄하고 있다. 김정규기자

학교 급식 현장의 인력 공백을 메우기 위한 대체인력풀제가 사실상 무용지물(경기일보 26일자 7면)로 드러난 가운데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경기지부가 성명서를 내고 교육 당국을 규탄했다.

학비노조 경기지부는 지난 26일 성명서를 통해 “경기일보 보도를 통해 무용지물로 전락한 경기도교육청 대체인력풀의 실체가 낱낱이 드러났다”며 “교육 당국이 조금만 주의를 기울여도 대체인력풀에 급식실 채용희망자, 정년퇴직자 등을 등재시킬 수 있었지만 실제론 아무 일도 하지 않았던 것”이라고 질타했다.

이어 “올해 초부터 교육부와의 면담을 통해 대체인력의 근본적 해결책으로 다른 시·도에서 시행하는 거점학교제도 등이 학교 급식실에도 마련될 수 있도록 요청한 바 있다”며 “하지만 교육 당국은 ‘인력과 예산이 수반되는 사업’이라며 난색을 표하며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경기일보 취재 결과, 지난 2020년부터 올해 3월까지 약 2년간 대체인력풀 시스템엔 조리사·조리실무사·영양사의 누적 등재인원이 586명에 그친 것으로 확인돼, 제도의 실효성에 의문부호가 달리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 확진자가 폭증해 급식실 인력난이 심각했던 지난 1~3월 말 도내 등재인원은 단 109명에 머물렀던 것으로 파악됐다. 또 조리사의 경우 성남·고양 등 16개 교육지원청에선 대체인력이 단 한 명도 존재하지 않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현장에서 근무하는 급식 종사자들은 스스로 대체인력을 구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녹록지 않아 현장에 남은 인원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과중한 업무를 떠맡고 있으며, 이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더욱이 노동 강도에 비해 대체인력비가 낮아 학교 급식실 현장에선 같은 급여면 다른 일을 알아보는 게 낫겠다는 말도 공공연하게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진선 학비노조 경기지부장은 “경기일보 보도를 통해 대체인력풀의 허상이 드러난 만큼 도 교육청은 현실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교육 당국은 대책 마련을 위해 지금이라도 당장 협의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정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