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고난 술꾼,비결은 유전에 있었다"…김범택 아주대병원 연구팀, 유전적 원인 밝혀내

김범택 아주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아주대병원 연구팀이 남들보다 술을 적게 마시는 사람이 알코올성 간질환에 걸리는 이유가 유전 가능성일 수 있다는 점을 밝혀냈다.

27일 아주대병원에 따르면 김범택 아주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알코올성 간염의 원인이 유전적 요인이며, 간에서 이뤄지는 항산화 작용(방어기전)이 약한 사람에게서 일어난다는 사실을 새롭게 확인했다. 그간 알코올성 간염은 흔히 알코올 분해효소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김범택 연구팀의 연구 결과, 이러한 방어기전이 유전적으로 약하면 술을 적게 마셔도 간 질환에 걸릴 수 있다는 사실이 새로 드러난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위해 40~79세 한국유전체역학연구(KoGES) 대상자 2만1천919명의 유전자를 분석했다. 대상자를 알코올성 간염이 있는 군과 없는 군으로 나누고, 각 그룹별로 ▲비음주군 ▲적정음주군 ▲중증음주군 총 3개 군으로 나눠 비교했다. 그 결과, 유전체의 단일염기변형(SNP)의 발현, 즉 환자군마다 유전자 변이가 다르다는 사실을 추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술을 적게 마시거나 많이 마시는 것과 상관없이 알코올성 간염 환자군에게 간 해독과 항산화 작용을 담당하는 효소인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GGT) 유전자 변이’가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또 술을 많이 마시지 않는 적정 음주군 내에서도 알코올성 간 질환이 있는 경우 유전자 변이 및 발현이 억제된 사실을 추가로 파악했다. 다만 연구팀은 강한 방어인자도 지나친 음주 시엔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과도하고 반복된 음주를 반복하면 간염 등 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범택 교수는 “그간 알코올성 간염이 알코올 분해효소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졌지만, 이번 연구에서 자기 몸을 보호하는 방어인자에 의해 발생한다는 점이 새롭게 밝혀졌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보면 항산화 효과가 더 좋은 비타민C가 풍부한 과일 주스를 마시는 게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간장학’(Hepatology)에 지난 2월에 실린 바 있다.

양휘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