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일 출범하는 윤석열 정부 ‘2실(비서실·국가안보실)·5수석(경제·사회·정무·시민사회·홍보)’의 대통령실 인선이 1일 발표됐다.
초대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에는 외교부 차관을 역임한 김성한 고려대 국제대학원 교수(62)가 내정됐다.
국가안보실 산하 1차장과 2차장에는 각각 청와대 대외전략기획관과 청와대 위기관리비서관을 역임한 김태효 성균관대 정외과 교수(55)와 신인호 KAIST 을지국방연구소 소장(59)을 내정했으며, 경호처장엔 김용현 전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63)을 지명했다.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은 내용의 인선안을 발표했다. 회견에는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 내정자도 함께 했다.
경제수석비서관은 농협대총장인 최상목 인수위 경제1분과 간사(59), 사회수석비서관은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인 안상훈 인수위 사회복지분과 인수위원(53)이 각각 내정됐고, 정무수석비서관과 시민사회수석비서관은 3선 출신 이진복 전 의원(65)과 재선 출신 강승규 전 의원(59)이 각각 인선됐다.
홍보수석비서관은 SBS 보도본부장 출신의 최영범 효성그룹 부사장(62)이 지명됐고, 대변인에는 강인선 당선인 외신 대변인(58)이 임명됐다.
새 대통령실의 ‘2실·5수석’은 기존 문재인 정부 청와대의 ‘3실·8수석’ 체제와 비교하면 정책실장과 민정·일자리·인사수석이 폐지되는 등 슬림화됐다. 인사수석은 인사비서관으로, 정무수석은 법률비서관으로 각각 대체할 것으로 전망된다.
장 당선인 비서실장은 “행정부가 좀 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정책들을 집행하고 수립할 수 있도록 대통령실은 조율하는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는 차원에서 슬림화 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민정수석 폐지에 대해서는 “(공직자 인사 등) 검증 업무는 경찰, 법무부 등 다원화된 채널 속에서 다원화된 평판을 갖고 인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요청한 과학교육수석이 빠진 이유에 대해 “과학교육수석이라고 따로 만들어서 할 시점은 아니다”면서 “윤석열 정부는 겸손한 대통령실을 꾸리고 싶은 의지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과학기술쪽 수석이 필요하다는 국민 요구가 더 많아지면 고려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