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로 수요 감소가 예상되면서 경기지역 마스크 업계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 더욱이 출혈 경쟁 등으로 이미 폐업의 길로 접어든 일부 업체들이 재고를 생산원가 이하로 덤핑 처리하면서 잔존한 업체들까지 존폐 위기로 내몰리는 모습이다.
2일 한국산업단지공단의 입주업체리스트 자료를 분석한 결과, 경기도내 마스크 관련 제조 업체는 코로나 초기인 2020년 4월 16개 업체에서 지난 3월 기준 174개 업체로 늘었다. 2년 사이 11배 가까이 증가했는데, 정식 등록이 되지 않은 무허가 업체들까지 고려하면 300개를 훌쩍 넘을 것으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다.
이처럼 마스크 생산 업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것은 2020년 ‘마스크 대란’이 일어나면서 식약처가 마스크 생산업체에 내주는 허가 절차 기간을 대폭 축소한 영향이다. 특히 마스크는 설비만 갖추면 생산량을 금방 늘릴 수 있어 물량도 급격히 증가했다.
공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면서 마스크 가격은 꾸준히 하락세를 걷고 있다. 2년 전 KF94 마스크의 온라인 가격은 4천원대를 웃돌다가 최근 500~600원대까지 떨어졌다.
양주의 한 마스크 공장 대표는 “업체간 생존 경쟁은 심해지는데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등으로 수요까지 줄면서 현상 유지도 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2년 전 1억원을 넘게 주고 산 생산 장비도 헐값으로 떨어져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반월시화공단에 위치한 마스크 제조업체 관계자는 “이미 일부 온라인 사이트에서는 땡처리 물량이 100원대까지도 판매되고 있다. 장당 생산비만 160원인데, 이제는 생산비나 원가가 아무 의미가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런 분위기는 지역 부동산 업계까지 번지고 있다. 공장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안산지역의 한 부동산에는 최근 마스크 생산 공장 매물이 3개 등록됐고, 문의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 석호길 한국마스크산업협회 회장은 “코로나 초기 국내 마스크 수급 문제로 인한 수출 금지 등으로 국내 생산업체들이 세계 시장 진입 시기를 놓쳤다”면서 “지금이라도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수출 장려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업계는 무너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수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