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대 대통령 취임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전국 정치권은 6·1 지방선거 열기로 아직 뜨겁다. 중앙 정치 무대인 여의도는 일명 ‘검수완박’ 법안인 검찰청법과 형사소송법 개정에 몰두하면서 극도로 혼란하다. 이로 인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활동이 주목받지 못하고 존재감마저 보이지 않을 정도다. 인수위의 가장 중요한 역할인 차기 정부의 국정과제 설정이 집무실 이전 논란에 잠식 당한 탓이기도 하다. 여기에 예비 집권당의 준비 부족과 승리에 도취한 자만감이 정국을 더욱더 불안하게 하고 있어 안타깝다.
국민의힘은 오는 10일부터 소수 여당으로서 정국을 이끌고 책임져야 함을 명심해야 한다. 대통령 당선인도 이를 인식하고 대통합과 협치를 강조했다. 그러나 선거 이후 보여준 국민의힘 모습은 준비된 집권 여당이 아니라 혼란을 자초하며 투쟁의 각을 세우고 있다. 국회의장이 나서 중재한 검수완박 관련 법안을 의원총회를 통해 추인한 후 당선인 측근의 반대 등으로 파기했다. 미래의 집권 여당이 일방적으로 대통령 측근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읽혀지는 대목이다.
당의 대표가 당 윤리위원회에 부쳐지고, 대통령 당선자의 최측근이 원내대표로 선출됐을 때 이미 예견된 일인지도 모른다. 당의 위상이 위축되고 대통령 당선자의 의지대로 주요 사안이 좌우되는 허약한 보수당을 자처한 것 같다. 이러한 행태는 지방선거에 출마한 예비 후보자들의 선거운동과 각 시·도당의 공천과정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무엇보다 대선 승리에 취해 지방선거도 이긴 것으로 자만하고 있다. 누구나 할 것 없이 ‘윤심’을 팔고 당선자의 측근이 득세를 하고 있다.
대선 승리에 도취한 모습은 인천지역 자치단체장 경선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마치 지방선거 ‘본선에만 나가면 당선’이라는 착각에 예비후보가 경쟁이 치열하다. 인천시당 공천관리위원회 결정의 재심과 발표 번복이 이어지는 등 잡음도 끊이지 않고 있다. 공천에 배제돼 경선에 참여하지 못한 예비후보들은 탈당까지 고려하며 반발하고 있다. 단수로 공천된 일부 후보는 당의 기준과, 국민의 눈높이와 거리가 멀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민은 선거에서 늘 냉정한 선택을 해왔다. 승리의 자만에 취한 정치 행태가 잠깐은 국민에게 통할지 모른다. 일부 대중을 현혹하면서 자기 정치만을 내세우며 표를 모으는 것도 가능할지 모른다. 하지만 이 같은 행태를 현명한 국민이 모를 리 없음을 명심해야 한다. 한결같이 늘 국민을 섬기는 미래 정치를 실천해야 한다. 그래야 국민 대통합과 협치를 할 수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