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르익는 수원군공항 이전 분위기…경기도 차원 전담부서 신설 여론 솔솔

수원특례시 권선구 장지동 일원에 조성된 수원군공항(공군 제10전투비행단)의 모습. 경기일보DB

경기남부지역의 상생 발전 열쇠인 수원 군공항 이전 문제와 관련, 경기도 차원의 전담 부서가 생겨야 한다는 여론이 나오고 있다. 그동안 수원특례시와 화성시 간 입장 차이가 확연해 해당 군사시설이 옮겨지지 않았던 만큼 경기도가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기 때문이다.

4일 지역 정치권, 경기도, 수원특례시 등에 따르면 경기도는 군공항 이전이 국방부 사업이라는 이유로 24개 실·국에 해당 업무를 진행하는 부서(과·팀 단위)를 두지 않고 있다.

앞서 지난 2017년 GH(경기주택도시공사) 전신인 경기도시공사가 부서 단위(직원 6명 근무)의 ‘수원 군공항 이전 지원단’을 운영, 군공항의 예비 이전 후보지인 화성시 화옹지구에 대한 발전 방향을 모색한 바 있다. 그러나 해당 지원단은 이듬해 업무 조정으로 미래전략실로 편입되는 등 기능이 축소되고 난 뒤 현재는 유명무실해진 실정이다. 지난 2019년 군공항 이전에 대한 찬성 여론을 모으려던 수원특례시가 도에 협조 공문을 보냈음에도 회신을 받지 못한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더욱이 군공항 이전에 따른 경기남부통합국제공항 신설로 경기남부지역 발전을 도모할 수 있기에 경기도가 수원특례시와 화성시의 여론을 수렴하는 등 중재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수원 군공항과 같이 찬반 대립 사안은 아니지만 경북도가 그 예다. 현재 경북 의성·군위군 이전이 확정된 대구 군공항은 대구경북통합신공항으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이에 경북도는 철도 건설 등 SOC 사업에 대한 의성·군위군의 건의사안을 듣고 조정안을 도출하는 등 파급 효과를 모색하고 있다. 기초단체의 목소리가 중앙정부에 닿기 쉽지 않은 국내 지방자치 특성상 경북도가 두 지방자치단체의 대변인을 자처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거대 양당 경기도지사 후보들이 수원 군공항 이전을 공약으로 내건 데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이 군사시설 이전에 대해 중앙정부 차원의 대폭 지원을 약속하는 등 해당 사안의 분위기가 무르익었다는 분석이다.

장성근 수원시민협의회 회장은 “국책 사업에 대한 기초단체의 한계는 명확한 가운데 수원특례시와 화성시 간 싸움은 이제는 끝내야 한다”며 “정당을 떠나 경기도지사 당선인이 정부를 향해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전담 부서를 구성하는 등 경기도가 큰 형님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정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