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을 대표하는 최고의 극장 폴크스뷔네(민중무대)는 통독 이전 동베를린을 대표하는 극장으로서, 동구의 연극에 늘 새바람을 일으키고 혁명처럼 문제작들을 선보였다.
폴크스뷔네가 유럽의 연극을 선도했던 이유는 1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극장의 명성도 있었지만 폴크스뷔네의 예술의 계급 저항정신에 바탕을 뒀던 극장 운영 방식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폴크스뷔네는 1914년 노동계급의 문화 향유권을 보장하기 위해 설립된 극장이다. 특히 동독 민주화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독일의 세계적인 연출가 프랑크 카스트로프가 예술감독으로 부임하면서 폴크스뷔네의 정신으로 다시 회생, 실험적인 작품을 여러 차례 성공시켜 극장의 문을 닫을 위기를 극복했다.
그의 선언은 대단한 것이 아니었다. “예술을 민중에게!”. 돈이 없어 대중이 예술을 누리지 못한다면 이는 결국 예술을 대중으로부터 고립시킨다고 생각했기에 최소 비용으로 폴크스뷔네의 작품을 민중들이 향유할 수 있도록 티켓 가격을 대폭 인하했다. 적어도 돈이 없어 보고 싶은 작품을 못 보는 상황을 없애도록 했다. 수준 높은 극장의 작품을 많은 대중이 즐길 수 있도록 했다. 폴크스뷔네는 통독 이후에도 이런 운영 방침을 지속 운영했다.
폴크스뷔네의 영광을 지켜보면서 우리나라의 상황을 돌아보게 됐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공공극장은 자립성을 강요받고 자본주의 경쟁의 구도 아래 최대한의 수익을 올려야 성과를 인정받는 극장과 공공 예술단체로 자리매김한다. 재정자립도가 떨어지는 극장들은 따가운 질책을 받아들여야 하는 상황이다. 재정 자립에 대한 부분이 점차 중요해지면서 공공극장들은 너나 할 것 없이 새로운 수익을 올리는 방안에 혈안이 돼 있다.
비싼 주차요금을 비롯한 식당 등 부대 상업공간을 최대한 많이 임대해 임대소득을 올리기도 하고, 대관료를 높게 책정하거나 혹은 부대사용료 항목을 최대한 많이 만들어 대관 단체에게 부담을 주기도 한다. 물론 방만한 운영으로 부실하게 운영되는 공공단체와 극장들은 문제다. 그러나 재정자립도만을 문제 삼고 이를 향유하는 시민들의 만족도에 대한 부분을 놓치는 게 더욱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
특히 시민의 알토란같은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의 극장과 단체의 경우 시민의 문화 향유 권리를 더 고려해야 할 것이고 혹시라도 소외받는 계층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이들의 문화향유의 기회를 마련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수준 높은 작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시민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로 공공의 극장과 단체가 해야 할 책무다. 이것이 바로 예술의 저변을 확대시키는 더욱 가장 올바른 방법이기 때문이다. 다시 한 번 폴크스뷔네의 슬로건인 “예술을 민중에게”를 가슴에 새겨본다.
구태환 수원시립공연단 예술감독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