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공업지역 28.72㎢ 관리방안 추진

인천 공업지역 전경.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공업지역별로 차별화한 관리 및 정비 계획을 마련한다.

시는 9일 정동석 도시계획국장 주재로 각 군·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인천 공업지역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위한 착수보고회를 했다.

시는 지역의 도시성장과 고용 기반의 중추적 역할을 맡고 있는 공업지역의 토지용도가 산업‧주거용으로 섞여 있는데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신산업공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이번 용역을 추진한다.

인천의 공업지역 67.88㎢ 중 항만구역 및 산업단지 등을 제외한 28.72㎢가 대상이며, 기간은 내년 9월까지다.

시는 용역을 통해 지역 내 공업지역의 특성에 따라 유형별 관리방안을 비롯해 정비사업의 추진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시는 기반시설의 노후화와 지역여건을 고려해 공업지역을 산업정비형, 산업관리형, 산업혁신형 등 유형별로 구분하고 지역에 맞는 관리방안을 찾는다. 또 시는 일부 공업지역을 정비구역으로 지정해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인천 공업지역기본계획 수립 대상지 현황. 인천시 제공

시는 기반시설·산업시설의 정비·개량이 필요한 지역 및 산업·주거 등이 혼재해 계획적 정비가 필요한 지역은 ‘산업정비구역’으로 지정한다. 이 구역에는 지원기반시설 설치·정비·개량과 함께 필요한 경우 임대주택과 공공임대 산업시설 건설을 추진한다.

시는 또 대규모 공장·공공시설 이전 부지 등 공업지역 혁신을 촉진하고 지역거점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는 지역은 ‘산업혁신구역’으로 지정한다. 이 구역에는 지원기반시설 설치에 더해 주택, 연구시설, 창업시설 등 산업·상업·주거·문화·행정 등의 복합개발을 허용해 노후된 공업지역을 개발할 방침이다.

정 국장은 “원도심 공업지역을 대상으로 산업정비구역 및 산업혁신구역 지정을 적극 검토할 것”이라며 “계획 수립에 있어 시민 및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겠다”고 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