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지선 격전지 맞수_시흥시장] 국힘 장재철 ‘시장 탈환’… 민주 임병택 ‘텃밭 수성’

image
더불어민주당 임병택 시흥시장 후보가 어린이에게 악수를 청하고 있다. 임병택 후보 캠프 제공

6·1 지방선거 시흥시장 선거 대진표가 확정됐다. 민주당은 임병택(48) 전 시장 무난히 단수공천을 받아 후보로 낙점됐으며, 국민의힘은 장재철(60) 전 시흥을 당협위원장이 곽영달 시흥시 전 경제활성화본부장과의 2인 경선에서 승리해 시장 후보로 나선다. 여기에 국민의힘 경선에서 컷오프된 이연수(68) 전 시흥시장이 무소속으로 출마하면서 3파전으로 전개된다.

시흥시는 전통적으로 민주당 지지 강세지역으로 지난 대통령선거에서 윤석열 당선인이 경기도 지자체 중 가장 적은 득표율(39.88%, 이재명 후보 56.69% 득표율)을 기록한 지역이다.

최근까지 치러진 선거만 봐도 민주당 김윤식 전 시장이 보궐선거로 시에 입성한 후 내리 3선을 역임했었다. 이후 임병택 후보가 지난 4년 시정 경험을 바탕으로 재선 도전에 나서는 가운데 국민의힘은 지역토박이에 시의원 3선, 시의장을 거친 장재철 후보를 내세워 시장직 탈환에 나선다.

국민의힘에서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이연수 후보의 지지율이 양당 후보 지지율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도 관심사다.

image
국민의힘 장재철 시흥시장 후보가 시민들의 의견을 듣고 있다. 장재철 후보 제공

국민의힘 장재철 후보는 시흥 토박이론을 내세우며 시장직에 도전하고 있다. 장 후보는 “장재철은 시흥에서 태어나고, 시흥에서 자랐다”며 “시흥이 키운 장재철, 이제 시흥을 키우겠다”고 출사표를 던졌다.

장 후보는 3선 시의원, 시의회 의장을 역임하며 지역민과 함께해 온 오랜 의정활동 경험이 장점이다.

그는 “누구보다 시흥을 잘 알고, 시흥을 사랑한다. 다양한 경험과 경륜을 바탕으로 시흥 발전을 강력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권역별 공약으로 북부권역 ‘문화 예술회관’ 조기 건립 추진, ‘시흥생활문화센터’ 건립, 중부권역 ‘생태비즈니스관광 MICE 산업’ 활성화, ‘시흥생태관광지원센터’건립, ‘시흥 근현대 역사박물관’ 설립, 남부권역 글로벌 미래교육과 ICT융합산업 가치 창출 첨단산업도시, 융복합 혁신도시를 약속했다.

장 후보는 “제가 만들 시흥의 3대 가치는 ‘소통과 조화 그리고 혁신’이라며 시흥 비전 5대 핵심과제로 위기에 강한 시흥, 차별 없는 균형 발전, 서울역 25분 전철시대, 시민의 삶의 질 향상, 고품격 청렴 도시 시흥을 실현을 내세웠다.

image
더불어민주당 임병택 시흥시장 후보가 급식 봉사에 동참하고 있다. 임병택 후보 캠프 제공

민주당 임병택 후보는 출마를 선언하면서 “대한민국 대표도시 K-시흥시 만들겠다”고 밝혔다. 임 후보는 “지난 4년 오직 시흥시민만 생각하며 민생과 미래 두 단어를 가슴에 품고 뛰었다”며 “다시 힘찬 각오로 시민을 만나려 한다”고 포부를 전했다.

임 후보는 4년간 시흥시장으로 서울대병원과 서울대 치과병원 설립 확정, 거북섬 시화MTV 개발, 매화역 확정을 비롯한 신안산선 및 경강선 착공, 경기도 시·군 종합평가 1위 달성, 공약이행평가 3년 연속 최우수 달성 등 굵직한 성과들을 이뤄냈다는 평가다.

임 후보는 “지난 성과를 토대 삼아 교육으로 삶의 질을 높이고, 경제로 일자리를 늘리고, 돌봄·복지로 시민을 따뜻하게 하며, 문화·예술로 시민을 행복하게 하는 대한민국 대표도시 K-시흥시를 꼭 만들겠다”는 각오를 다졌다.

10대 미래비전으로는 미래교육 메카 조성, 신산업 경제도시 구축, GTX-C 오이도역 유치, 동서남북 철도 교통망 완성, 바이오·의료산업 중심도시 도약, 생태도시 조성, 친환경 레저·관광산업 활성화, 시흥문화예술회관 완공, 시흥형 돌봄SOS센터 설립, 시장 직속 어르신·장애인 일자리위원회 구성, 어린이 통학로 CCTV 대폭 확대, 경기도 농민기본소득 도입, 친환경급식 확대 등을 발표했다.

image
무소속 이연수 시흥시장 후보가 선거 운동 중 만난 환경미화원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연수 후보 캠프 제공

무소속 이연수 후보는 시장 재직 시절 군자매립지(현 배곧신도시) 매입, 서울대 캠퍼스 유치 계획, 제3 경인고속 도로 착공, 시화 MTV 사업 조기 착수, 오이도 빨간 등대 등 시흥시 발전의 초석을 세웠다는 점을 부각하고 나섰다.

그는 “시흥 발전을 위한 창의적, 구체적인 공약안들을 촘촘하게 제시해 무소속이지만 지역으로부터 크게 지지를 받고 있다”며 자신의 소통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시흥=김형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