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진의 늪’ KT, 잇따른 부상에 루머까지 ‘위기의 계절’

주전 투·타 간판 선수 부상 전력 이탈…우승단장·투수코치 전보 관련 추측 난무

프로야구 디펜딩 챔피언 KT 위즈가 총체적인 난국에 각종 루머까지 나돌면서 어려운 시즌을 보내고 있다. 사진은 지난 12일 KIA전서 투구 후 부상으로 고통스러워 하는 KT 투수 박시영.연합뉴스

프로 야구 ‘디펜딩 챔피언’ KT 위즈가 잇따른 부상 악재와 투·타 부조화로 좀처럼 부진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KT는 간판타자인 강백호, 새 외국인 타자 헨리 라모스, 에이스 투수 윌리엄 쿠에바스, 불펜 간판 투수 박시영이 부상으로 전열에서 이탈한 상태다. 따라서 16일 현재 16승21패, 승률 0.432로 8위에 머물러 있다. 지난 주말 홈 3연전서 키움에 스윕패를 당하며 4연패 늪에 빠져있다.

4월 개막 후 2주간 연패의 늪에서 허덕이다가 셋째 주 부터 안정을 찾아가던 팀 전력은 5월 둘째 주 들어서 다시 곤두박질치고 있다.

잇따른 부상 선수 발생이 원인으로 꼽히지만 불펜 마운드의 붕괴와 타선의 집중력 저하, 백업 멤버의 더딘 성장에 몇몇 포지션에 대한 과도한 집착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강철 감독 부임 후 3년간 피칭 디자인을 통해 선발진은 물론 불펜진까지 탄탄한 마운드 전력을 구축했던 KT 마운드는 최근 불펜진이 무너지면서 선발 투수들의 호투를 지워버리고 있다. 불펜진의 실점률이 리그 9위에 머물러 있다.

선발진의 변함없는 호투에도 불구하고 불펜진이 난조를 보이면서 선발진에게 긴 이닝을 끌고 가려다가 교체 타이밍을 놓쳐 되레 더 많은 불펜 투수를 마운드에 올리는 악수가 반복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불펜의 핵이었던 박시영의 부상 시즌 아웃은 더욱 힘든 마운드 운용을 예고하고 있다.

또한 강백호, 라모스가 빠진 타선은 배정대, 박경수, 홍현빈 등의 부진이 장기화되면서 응집력을 잃어가고 있다. 지난 15일 키움전에서는 12안타에 무려 8이닝이나 득점권에 타자를 두고 단 1득점에 그치며 잔루 16을 기록하는 난맥상을 보였다.

이처럼 어려운 상황에서 필요할 때 유용하게 쓸수 있는 백업 타자들이 별로 없다는 것도 KT의 고민거리다. 이강철 감독 부임 후 입버릇처럼 얘기했던 ‘뎁스 강화’는 1,2군 선수 간 격차가 너무 커 공염불에 그치고 있다. 더욱이 외야수 홍현빈과 내야수 박경수, 김병희 등은 1할대 부진을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1군에서 출전하고 있다.

타 팀들의 경우 1군 주전 타자, 심지어 외국인 타자까지도 부진이 장기화되면 과감히 2군으로 내려 반성과 재충전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강철 감독은 꾸준한 기회를 주고 있어 팬들 사이에서 “팀 성적이 바닥권인데 언제까지 테스트를 하고 관용만 베풀 것이냐”는 비난을 사고 있다.

한편, KT의 이번 시즌 부진에 대해 팬들은 물론 야구계에서는 지난 2월 인사가 단초가 됐다는 여론이 높다. KT는 1월 말 창단 첫 우승을 이끌었던 경기인 출신 이숭용 단장과 리그 최고의 피칭 디자이너로 꼽히던 박승민 투수 코치를 각각 육성군 총괄과 2군 코치로 전보 발령하는 파격 인사를 단행했다.

당시 KT는 육성의 중요성과 당사자가 현장에 나가고 싶어 했다는 인사 배경을 설명했지만, 야구계 안팎과 팬들은 납득하기 어려운 인사라는 평가다. 신임 사장 취임 후 10일 만에 단행한 첫인사가 우승 단장과 1군 투수 코치의 강등 성격 인사는 무언가 흑막에 가려진 사연이 있거나 KT 내 특정인이 자신의 라인을 구축하려 입김이 작용했다는 등 여러 루머가 무성하다.

이강철 감독은 최근의 부진에 대해 “강백호와 라모스, 쿠에바스가 돌아오는 6월이면 달라질 것”이라며 기대감을 밝히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현재의 상황이나 분위기가 쇄신되지 않는다면 쉽게 반등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황선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