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차 접어든 경기도 생활체육지도 전환…점수는 ‘합격점’

시행 초기만 하더라도 경기도내 시·군의 미온적 참여로 지지부진했던 생활체육지도자 전환 사업이 도의 적극적인 참여 독려로 올해 모든 절차가 마무리된다.

이로써 계약 갱신 때마다 고용불안에 떨었던 체육 최일선 생활체육지도자들의 처우개선도 함께 이뤄질 전망이다.

1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020년 9월 문화체육관광부가 마련한 ‘생활체육지도자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을 시·군 체육회에 위임, 생활체육지도자의 정규직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가이드라인에는 비정규직(계약직)을 정규직(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되, 급여는 현행유지하고 수당은 시·군 여건에 따라 추진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그동안 처우개선 등 법적근거가 미진한 탓에 일선 시·군의 참여도가 떨어져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는 경기지역 생활체육지도자 전환율이 전국 평균에 못 미친다는 오명을 쓰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시행 3년차에 접어든 경기도 생활체육지도 전환 사업이 숱한 우여곡절 끝에 8부 능선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용인특례시와 광명시 등이 잇따라 정규직 전환을 마무리하며, 지난달 기준 31개 지자체 가운데 수원·성남·안산·포천 등 4곳을 제외한 27개 지자체의 생활체육지도자들이 정규직 전환을 완료했기 때문이다.

전환 규모는 총 305명 중 253명으로, 전환율은 82.9%에 이른다. 이에 따라 그동안 고용불안에 떨던 신분도 보장받게 됐다.

나머지 4개 지자체 역시 올해 안으로 전환 작업을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원특례시의 경우 일정을 검토해 올 하반기부터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를 열고, 관내 활동 중인 생활체육지도자 13명을 대상으로 정규직 전환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도 역시 미전환 시·군 체육회를 대상으로 생활체육지도자 전환을 독려하는 등 올해 모든 절차를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모든 사안이 순조롭게 흘러가고 있다”며 “미전환 된 나머지 4곳의 지자체도 긍정적인 상황”이라고 밝혔다.

김현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