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장애인 학대 느는데 성폭력 피해자 쉼터 없어 심리 지원 부족

인천지역에 장애인 성폭력 피해자의 심리적 지원과 일상 복귀 등을 도울 성폭력 피해자 쉼터가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여성가족부 등에 따르면 현재 전국에는 총 7곳의 장애인 성폭력 피해자 쉼터가 있다. 이 중 인천과 인구 규모가 비슷한 대전과 부산 등도 1곳씩의 성폭력 피해자 쉼터를 두고 있지만, 인천은 ‘장애인 쉼터’가 있다는 이유로 성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쉼터는 설치하지 않았다.

그러나 인천에 있는 장애인 쉼터는 주거 기간이 3개월에 그쳐 2년동안 머물면서 각종 심리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성폭력 피해자 쉼터와 차이가 있다. 또 장애인 쉼터는 주거 공간만을 제공하는 특성이 있어 장애인 성폭력 피해자 쉼터처럼 피해자들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맞춤형 상담·치료 프로그램은 제공하지 못한다. 게다가 이마저도 정원이 남녀 각각 4명씩 고작 8명에 그친다.

인천은 성폭력 피해를 포함한 장애인 학대가 2019년 77건, 2020년 101건, 2021년 157건으로 꾸준히 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대책은 제자리 걸음인 셈이다.

지적장애인인 20대 여성 A씨는 친척집에서 살던 중 옆집 남자로부터 성폭력을 당했다. 이 경우 가해자와의 분리 조치가 필요하지만, 인천에는 갈 곳이 없어 결국 다른 지역에 있는 성폭력 피해자 쉼터에 가야 했다.

또 다른 지적장애인 20대 B씨는 작은아버지 댁에서 자라던 중 삼촌으로부터 장기간 성폭력을 당했다. B씨는 갑작스러운 불안증세 등을 이상하게 여긴 작은아버지의 상담 요청이 있을 때까지 아무런 도움도 받지 못했고, 성폭력 피해자 쉼터에 가지 못한 채 여전히 집에서 삼촌이 방문하지 않기만을 바라고 있다.

정재훈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장애인 성폭력 피해자들은 자신의 감정과 피해 사실을 호소하는 게 어렵다”며 “이들의 특수성을 고려한 성폭력 피해자 쉼터 개설이 필요하다”고 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성폭력 피해자는 장애인 쉼터에서 수용하고 있다”며 “외부 전문가와 함께 심리적 지원과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어 “피해자들의 지원을 위한 방안을 찾겠다”고 했다.

최종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