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부터 제8회 지방선거 선거 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가운데 경기 지역 시·군 공무원들이 투표 당일 격무 걱정에 몸서리치고 있다.
이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도내 지방공무원 등에 따르면 시·군 공무원들은 사전·본투표 당일 투표소 관리와 개표 업무 등을 맡는다. 선거일 전후로는 공보물 발송과 시민을 대상으로 한 투표 사무원 모집, 선거벽보 탈부착 업무까지 담당한다.
선거 사무는 엄연히 선거관리위원회의 소관임에도 이와 관련한 경험을 갖춘 지방공무원들이 사실상 부서 할당 등의 형태로 투입되는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전체 정원의 30%가 차출된다.
이런 가운데 다음달 1일 지방선거가 13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지방공무원들은 걱정부터 하고 있다. 당일 오전 4시30분께 출근한 이들은 1시간30분 뒤에 시작하는 선거 관련 업무를 준비하고 오후 6시 투표시간이 종료돼도 곧바로 귀가하지 못한 채 오후 8시께 퇴근한다. 투표함 봉인 등 관련 절차가 남아 있어 최대 14시간30분을 근무하는 셈이다.
익명을 요구한 수원특례시 한 공무원은 “지난 3월 대통령 선거에서 몰려드는 유권자로 화장실도 제대로 가지 못했고 밥도 먹는둥 마는둥 했다”며 “특히 확진자 동선 미분리 등 선관위의 미흡한 조치로 시민들로부터 거센 항의를 받은 몇몇 동료들이 남몰래 눈물을 흘리는 등 트라우마가 남아 있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런 가운데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등은 사례금 개선을 요구, 일부는 반영됐으나 아직 갈길이 멀다는 지적이다. 선거에 차출된 지방공무원들은 애초 수당(6만원)과 사례금(4만원) 등 총 10만원을 받았다가 최근 중앙선관위의 개선 방침으로 사례금(14만원)이 늘어 총 20만원(투표 사무원 기준)을 수령하게 된다. 그러나 이는 시간외 수당, 최저시급(9천160원) 등이 반영된 22만4천여원보다 못 미치는 수치다.
박중배 전국공무원노동조합 대변인은 “워낙 업무 강도가 강한 탓에 차라리 돈을 안 받고 선거날 편하게 보내고 싶어하는 공무원들이 있는 상황”이라며 “현실적인 수당 인상뿐만 아니라 시대가 변한 만큼 투표 당일 이외의 업무인 공보물 발송을 모바일로 하는 등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선거 사무에 대한 이해와 현장 행정 경험 등을 갖춘 지방공무원의 협조가 절실한 상황”이라며 “이들의 처우 개선을 위해 재정당국 등 관계부처와 지속적인 협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민들은 지방공무원의 지방선거 차출과 관련해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공감했다. 부천시 거주 이상훈씨(32)는 “격무를 감수하기 이전에 적절한 처우 개선과 시스템 전환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고 전했다. 또 안산시민인 김정원씨(50)는 “선관위가 맡아서 해야하는 데 왜 지방공무원을 동원하는지 모르겠다”며 “선거가 매년 치러지는 것도 아닌만큼 선관위가 선거철에는 직접 잘 대처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이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