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께서 직장, 의료, 교육의 혜택을 폭넓게 받을 수 있도록 혁신성장을 반드시 이뤄내겠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김동연 경기도지사 후보는 22일 캠프 선거사무실에서 진행된 본보와의 인터뷰를 통해 “‘1·3·5 부동산 전략’을 시행하고, 직주근접을 이뤄내 경기도를 서울에 예속되지 않는 자족도시로 만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후보는 이번 지방선거의 최대 현안을 부동산 정책으로 보고, 부동산 가격안정과 주거안정을 목표로 전력을 다한다는 뜻을 피력했다.
부동산 문제는 주택 공급과 투기 억제를 동시에 신경 써야 하는 것으로, 김 후보는 1기 신도시 주택 노후화를 해결하고 3기 신도시는 일자리를 연계한 자족도시로 키우며, 시세의 50% 수준인 주택을 공급하는 ‘1·3·5 부동산 전략’을 꼭 실현한다는 복안이다.
그는 “도내 공공부지 중 대형택지로 단독개발 가능한 면적이 30만㎡인 것을 고려했을 때, 100만가구의 주택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 중 20만가구를 청년·신혼부부 등에게 반값주택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의 대표 사업인 ‘기본소득’ 정책에 대해서는 계승·발전시켜 나갈 것을 선언했다.
김 후보는 “이 전 지사의 기본소득은 농민, 청년을 타겟으로 한 사회서비스 측면의 성격을 지녔는데 저는 매우 효과가 있다고 본다”면서 “현재 전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는 K컬쳐의 성장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했을 때, 열악한 여건에서 생활 중인 문화예술인을 대상으로 기본소득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날 김 후보는 코로나19에 따른 영업제한 등 정부 정책으로 인한 경영상 피해로, 대부업체나 사채시장에서 돈을 빌린 소상공인·자영업자의 회생을 위해 ‘신용대사면’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도 전했다. 경기신용보증재단 출연 등을 통해 고금리 대출을 받은 소상공인·자영업자가 2금융권 정도의 대출금리로 갈아탈 수 있도록 돕겠다는 것이다.
청년층에서 불거지는 젠더 갈등에 대해서는 정치권의 갈라치기 행태를 질타하기도 했다.
그는 “청년층에서 혐오까지 일어날 정도의 젠더 갈등은 20대 남성을 타겟으로 삼았던 정치권의 갈라치기가 원인”이라며 “대화와 토론을 통해 성숙하게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이대남’, ‘이대녀’ 프레임을 씌워 갈등을 부추긴 것에 대한 문제의식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김 후보는 적극행정이 실현될 수 있도록 경기도지사 직속 ‘적극행정위원회’ 설치를 약속하기도 했다.
그동안 문제로 제기된 공직사회의 복지부동 관행을 타파하고 위험을 감수하는 적극행정을 실현할 수 있도록 공무원 스스로 소신, 적극행정을 펼칠 수 있는 공직사회 문화를 조성하는 토대를 마련한다는 것이다.
김 후보는 “공무원이 적극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공직문화가 형성되면 현 규제의 3분의 1가량은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경기도지사 직속의 적극행정위원회를 설치해 적극행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과에 대해서는 적극 보상하고, 문제에 대해서는 면책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광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