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덕수 총리, 협치와 민생안전을 최우선해야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21일 오전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임명장을 받고, 이어 국립현충원을 참배한 후 공식일정을 시작했다. 한 총리의 국회 인준은 무려 47일 만에 마무리됐지만 그동안 여야 간 정쟁이 치열했다. 특히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20일 국회에서 행한 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 투표 직전까지도 의원 간 찬성과 부결이 팽배한 가운데 우여곡절을 겪다가 총리 인준안이 국회에서 가결됐다.

더불어민주당은 청문회 과정에서 한 총리 후보자에 대하여 부적합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야당 지도부는 총리 인준 투표일인 지난 20일 오후에도 이런 기류가 대세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새 정부 발목잡기와 6월 지방선거에 대한 여론을 고려해 인준 가결로 당론을 채택함으로써 한 총리 임명동의안이 찬성 208명, 반대 36명, 기권 6명으로 통과된 것이다.

한 총리 인준에 대해 야당은 대승적 차원에서 내린 결정이며 “새 정부 출범에 야당이 막무가내로 발목잡기를 하거나 방해할 의사가 전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여당 원내대표도 “이런 협치정신이 앞으로의 국회 운영에도 계속 발휘해 주길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한 총리는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도 일한 인사임으로 야당과 상당한 인연이 있다. 이는 윤 대통령이 한 총리의 지명은 “처음부터 협치를 염두에 두고 지명했다”고 말한 것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총리 인준안 통과 후 강인선 대통령실 대변인은 “국정 수행의 동반자인 야당과 더 긴밀히 대화하고 협력해 국정을 성공적으로 이끌겠다”고 밝혔다. 한 총리도 국회 본회의 후 “오직 국민만 보고 국민과 함께 걷겠다”고 했다.

윤 정부는 거대 의석을 차지하고 있는 야당의 협조 없이는 국정 운영이 사실상 어려우므로 한 총리는 협치정신을 최대한 살려 야당과의 협조 속에 행정부를 이끌어야 된다. 협치정치는 어느 일방의 양보만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6월 지방선거를 겨냥해 야당이 한 총리의 인준을 가결해 준 것이기는 하더라도, 이런 야당의 협치정치를 윤 대통령과 여당은 무겁게 받아들여 코로나 사태, 북한 핵 위협, 민생문제 등 각종 국정난제를 해결하길 기대한다. 이를 위해 국정경험이 많은 한 총리는 여야가 협치정치를 할 수 있도록 가교 역할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실행하기를 요망한다.

한 총리가 또한 우선 국정과제로 할 것은 민생안정이다. 현재 한국경제는 치솟는 물가로 서민들은 장보기가 겁난다고 한다.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4.8%로 13년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물가·환율·금리·부채 등 경제상황은 서민가계를 어렵게 하고 있음을 깊이 인식하고 민생안정에 심혈을 다하기를 거듭 요망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