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부의 절반’ 사전투표가 시작됐다. 여야가 투표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소속 의원 전원에 사전 투표를 지시했다. 투표소에서 찍은 인증샷까지 권고했다. ‘하루의 투표가 3일의 투표를 이길 수 없다는 워딩까지 만들었다. 민주당도 대선 패배 충격을 털고 투표에 나서달라고 호소했다. ‘우리가 투표하면 우리가 이긴다’는 구호를 내세웠다. 여야 모두 전체 투표율 60%를 목표로 세웠다. 투표장으로 지지자 이끌기 전쟁의 시작이다.
사전투표는 2014년 처음 도입됐다. 그해 지방선거 사전투표율은 11.49%였다. 이후 사전투표율이 급격히 높아졌다. 4년 뒤인 2018년 지선에서 20.14%까지 치솟았다. 반대로 전체 투표는 50~60%대 갇혀 있다. 2006년 51.6%, 2010년 54.5%, 2014년 56.9%, 2018년 60.2%다. 자연히 전체 투표율 대비 사전투표율 비중도 커지고 있다. 2014년 제6회 지방선거에서는 약 20%였고, 2018년 제7회 지방선거에서는 33%였다.
여기에 직전 선거의 여파까지 있다. 지난 3월9일 대통령 선거의 사전투표율이 36.93%였다. 이보다는 낮지만 경기지역도 33.65%였다. 전국·경기 모두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전체 투표율 대비 사전투표율 비중은 50%대를 육박한다. 투표가 절반 끝난 상황에서 선거 당일을 맞는 셈이다. 우리가 사전투표를 ‘승부의 절반’이라고 표현하는 게 결코 과하지 않다. 사전투표에서는 진보 진영이 다소 유리하다지만, 투표율이 높아지면 의미 없다.
이번 사전투표가 관심을 끄는 게 또 있다. 바로 부정선거 의혹이다. 2020년 4·15 총선에서 본격적으로 제기됐다. 사전 투표가 ‘QR코드 전산조작과 투표조작으로 이뤄진 부정선거’라는 주장이다. 당시 국민의힘 전신인 미래통합당 쪽에서 나왔다. 이후 일부 보수층을 중심으로 사전투표 불신 풍조가 확산됐다. 심지어 ‘사전투표 하지 말자’는 주장까지 나돌았다. 어찌보면 과거 사전투표에서 진보 진영이 유리했던 이유가 여기 있을 수 있다.
그 소모적 논란이 이번 선거에서 매듭 지어질 거라는 기대가 있다. 당시 의혹의 핵심은 ‘여권의 음모’다. 배후에 당시 여권이 있음을 전제로 설명했다. 이제 여야 관계가 정반대로 바뀌었다. 보수 진영이 여당으로 치르는 선거다. 논리적으로 양립할 수 없는 상황이다. 부정선거 의혹이 또 제기된다면 보수 권력이 주체란 얘기다. 보수 진영이 보수 정권을 공격하는 논리가 된다. 현실적이지 않다. 물론 부정선거 의혹이 없다면 더 없이 깨끗한 마무리다.
이래저래 중요한 사전투표다. 여야 정치권 모두에 중요하다. 부정선거 논란에도 중요하다. 의미를 알면 더 많이 투표장으로 가야 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