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생활치료센터 운영 종료, 취약계층 보완책 마련해야

오늘부터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 운영이 중단된다. 코로나19 경증 확진자의 격리치료를 담당했던 생활치료센터는 지난 2020년 3월2일 대구에서 처음 개소한 지 820일 만에 운영을 종료했다. 전국 12개 권역별 생활치료센터는 31일로 문을 닫고, 6월부터는 해외에서 입국한 외국인들을 위한 생활치료센터 1곳만 운영한다. 모든 확진자를 입원 격리하는 원칙이 지난해 폐지된데 이어 재택치료가 활성화되고, 동네 병·의원에서도 코로나19 환자가 대면진료를 받을 수 있게 돼 격리시설이 불필요해진 데 따른 것이다.

생활치료센터는 코로나19 초기였던 2020년 3월초 병상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무증상·경증 환자용으로 처음 도입했다. 국공립시설과 기업 연수원, 대학 기숙사 등을 생활치료센터로 활용, 환자 상태를 지속적으로 살펴 증상이 악화될 경우 감염병전담병원이나 코로나19 병상으로 이송했다. 이로 인해 사망자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생활치료센터 운영 종료로 주거 취약계층에 대한 보살핌이 걱정된다. 방역당국은 긴급돌봄서비스, 별도 시설내 격리실 운영, 병상 배정 등 환자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보완책을 지자체별로 마련하도록 했는데 세심한 지침과 준비가 필요하다. 6·1 지방선거후 민선 8기가 새로 시작되는 과도기여서 자칫 취약층 관리에 소홀할 수 있다.

정부는 임시선별검사소도 31일까지만 운영하고, 1일부터 보건소 선별진료소와 통합했다. 여름 휴가철 등을 앞두고 입국시 방역 지침도 1일부터 추가로 완화했다. 백신접종을 완료한 보호자와 동반 입국할 때 격리면제를 받는 대상 연령이 현행 만 6세 미만에서 만 12세 미만으로 확대되고, 입국 후 코로나19 검사도 2회에서 1회로 줄였다.

확진자 감소에 따라 생활치료센터와 진료소 등을 축소하는 것은 적절하다. 하지만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 신규 확진자가 일일 1만명 이하로 떨어졌지만, 유행이 반등할 요인이 도사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백신 접종과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으로 인한 확진 경험으로 국민 면역력이 높아진 지금이 ‘제일 좋을 때’라면서, 면역력이 감소하면 코로나19 유행은 다시 증가할 것이라고 했다. 빠르면 여름부터 확진자 수가 증가하기 시작해 가을·겨울에 재유행의 정점이 올 수 있다는 전망이다. 신종 변이의 등장도 위험 요인이다.

항체와 백신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급감하면서 방역의식이 느슨해졌다. 정점일때 만큼 최악의 상황은 오지 않겠지만 방심은 금물이다. 특히 생활치료센터 운영을 종료했어도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에 인력 파견 등 보완책을 마련해 빈틈없이 실행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