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국경선, 전쟁으로 바꿀 순 없다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지구촌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들이다. 흔히 G7으로 부른다. 대한민국은 아직 포함되지 않았다. G7 외무장관들이 최근 의미심장한 선언을 공포했다.

▶핵심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바꾸려는 국경선 불인정이다. 러시아를 우회 지원하는 중국에 대해선 돕지 말라고 경고했다. 선언이 발표된 장소는 독일 북부 함부르크 바이센하우스다. 사흘 동안의 회동 결과이기도 하다. 이들은 “크림반도를 포함해 우크라이나의 영토주권을 지지한다”고도 밝혔다.

▶발표는 러시아가 돈바스와 헤르손주, 자포리자주 등 우크라이나 점령지 병합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나왔다. 이들은 러시아 경제·정치적 고립 강화에도 뜻을 모았다. 그러면서 “단일대오로 뭉쳐 러시아에 대한 압박수위를 높이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러시아 의존도가 높은 분야에 대한 추가 제재도 예고했다.

▶구체적으로 러시아산 석탄·석유 수입도 금지하고 러시아 에너지 의존을 종식시키려는 노력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확대도 결의했다. 중국과 벨라루스 등 러시아를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국가들에 대한 경고 메시지도 보냈다. 특히 중국을 겨냥한 강성 발언이 두드러졌다.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독립 등을 지지해달라”. 벨라루스에 대해선 “국제적 의무를 준수하라”고 꼬집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지구촌 식량 부족문제도 주요 의제 가운데 하나였다. 올해 G7 의장국인 독일의 안나레라 배어복 외무장관은 기자회견을 통해 “우리는 ‘어떻게 지구촌을 먹여 살릴 수 있을까’라는 절박한 질문에 직면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다음 수확 전까지 우크라이나 식량창고 내 식량을 다른 지역으로 수송하기 위한 물류문제 해소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 연장선에서 인도 정부의 식량안보를 내세운 밀수출 금지결정을 비판하기도 했다.

▶인류는 땅을 넓히려고 전쟁을 벌여왔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명분도 겉으로는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 반대이지만, 실제 이유는 영토 확장이다. 전쟁으로 국경선을 바꾸려는 ‘어리석은’ 역사는 결코 멈출 수 없는 걸까. 집권당의 압승으로 끝난 6·1 지방선거를 지켜보며 드는 부질 없는 생각이다.

허행윤 지역사회부 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