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여야 협치로 민생, 경제 살리기 올인해야

대선 뒤 84일 만에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유권자들은 여당인 국민의힘에 표를 몰아줬다. 6·1 민심은 윤석열 새 정부의 안정적 국정운영과 거대 야당의 변화를 주문했다.

이번 선거에서 17개 광역단체장 중 국민의힘은 12곳, 더불어민주당은 5곳에서 당선됐다. 지방선거의 최대 격전지였던 수도권에서도 국민의힘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은 경기·인천·서울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모두 20%p 격차로 대승을 거뒀으나 이번엔 국민의힘이 4년 만에 인천·서울에서 결과를 뒤집었다. 인천시장에 유정복 후보가 복귀했고, 서울시장에는 오세훈 후보가 또 당선됐다. 선거기간 내내 박빙 구도가 이어졌던 경기도지사는 새벽까지 초접전 끝에 민주당 김동연 후보가 가까스로 당선됐다.

경기도내 기초단체장도 2018년 선거에서 31개 시군 중 2곳에서만 국민의힘 단체장이 나왔으나 이번엔 22곳에서 승리했다. 29대 2의 스코어로 민주당에 완패했던 국민의힘이 4년 만에 22대 9로 압승을 거둔 것이다.

이번 지방선거 결과는 대선 패배 이후 제대로 된 성찰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채 자중지란의 모습을 노출한 민주당에 대한 심판의 의미가 컸다. 때문에 민주당이 내건 ‘국정견제론’은 힘을 받지 못했다. 6·1지방선거는 ‘윤석열 재신임’과 ‘민주당 재심판’이 이슈였다. 여당은 ‘정권 교체 완성’을, 야당은 ‘견제와 균형’을 주장하며 지지층 결집에 나섰으나 여당의 승리로 끝났다.

지방자치를 책임질 생활밀착형 일꾼을 뽑는 선거가 대선 연장선이 돼 지방선거 의미가 퇴색된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50.9%의 낮은 투표율도 아쉽다. 유권자의 관심을 끌만한 이슈가 없었던 데다 대선에 이은 선거 피로감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민주당은 지방선거에서 나타난 민심의 엄중함을 헤아려 당내 문제가 무엇인지 냉정히 성찰하고 혁신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정부와 여당도 이번 선거 승리를 기뻐할 일만은 아니다. 여당이 지방선거에서 압승했다지만 국회는 여소야대 형국이다. 윤석열 정부는 향후 2년간의 국정을 국회 의석 과반인 거야 민주당과 함께 꾸려가야 한다. 선거 압승에 오만하지 말고 낮은 자세로 야당과 협치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이는 경기도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경기도지사는 민주당이 당선됐지만 시장·군수는 31명 중 22명이 국민의힘이다. 중앙정치만큼 첨예한 대립이 있지 않겠지만 협치는 필수다. 도와 시군이 함께 풀어야할 현안이 산적해 있다. 교통·주택·교육·경제 등을 포함해 낙후지역 규제완화까지 함께 풀어야 한다. 이제 여야를 떠나 민생을 살리고 지역발전을 도모하는데 머리를 맞대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