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설문조사 결과, 재건축 희망 용적률 300% 이하 많아
경기도 1기 신도시 주민 83.8%가 재건축과 리모델링 등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재건축 형태로는 용적률 300% 이하가 많았고 21~30층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연구원은 9일 1기 신도시 분당, 평촌, 일산 등의 주민 500세대를 대상으로 지난 3~4월 2개월간 설문조사한 ‘경기도민은 새로운 1기 신도시를 기대한다’ 보고서를 발간했다.
도는 1980년대 후반부터 1기 신도시 사업이 추진됐고 1990년대 초반 성남 분당, 안양 평촌, 군포 산본, 고양 일산, 부천 중동 등 5곳이 조성됐다. 그러나 준공 30년이 지나면서 노후화 등을 겪고 있었는데, 새 정부가 ‘1기 신도시 재정비 발전방안 마련’을 도 지역공약으로 제시하면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신도시 주민의 83.8%가 ‘아파트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중동이 88.6%로 가장 높았고 산본(86.7%), 일산(84.1%), 평촌(83.8%), 분당(80.4%) 등의 순이었다.
재정비 사업 방식 선호도에선 재건축(48.4%)이 리모델링(35.1%)과 유지보수·관리(16.5%)보다 높게 나왔다. 다만 지역별 재건축과 리모델링의 사업 방식 선호도 분포에선 각각 차이가 났다. 재건축에선 자유로운 평면·단지설계(61.6%)와 구조적 안정성 확보(51.7%)를 주로 꼽았다. 또 리모델링은 사업 기간 단축(72.1%)과 비용 절감·친환경적(71.4%) 등이 다수였다. 사업 시행 시기로는 5년 이내가 62.8%(2년 이내 21.2%, 2~5년 이내 41.6%)로 가장 많았다.
아울러 재건축 시 용적률로는 47.8%가 300% 이하를 층수로는 56.2%가 21~30층을 선호했다.
또 현 거주 상태 관련 조사에서 19.4%만이 세대 내 환경에 만족했는데 가장 큰 불만족 요소는 주차장(64.2%)과 상하수도 부식(55.0%)을 지목했다.
이에 연구원은 1기 신도시 재정비 추진전략으로 ▲도시발전 트렌드를 반영한 신도시 재정비 ▲유휴 공간 및 시설 재활용과 노후시설 재정비 ▲실외 공간과 연결성을 높이는 근무 환경 조성 및 주택 면적 확대 ▲도심에서 외곽으로 이동하는 산업 입지 개편 준비 ▲여가 활동을 위한 실외 공공 공간 확대 및 커뮤니티 공간 확대 ▲다양한 녹지 공간 조성 등을 제시했다.
장윤배 선임연구위원은 “국토부에서 기본계획 등을 수립하고, 도는 개발 콘셉트에 맞는 단지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수립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박병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