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일주일째…경기도 150개 콘크리트 제조업체 'STOP'

“30년 넘게 업계에서 일했는데, 이런 적은 처음입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의 파업이 일주일째에 접어들면서 도내 콘크리트 제조업체들이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다. 더욱이 도내 제조업체들의 제품 생산량이 전국 최대 규모로 꼽히는 만큼 제품 수요 업체 등의 추가 피해까지 예상된다.

13일 경기도콘크리트공업협동조합에 따르면 화물연대 파업 시작 다음 날인 지난 8일을 기점으로 조합 회원사 81개의 제조 공장이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에 돌입했다. 조합에 가입되지 않은 70여개사 역시 공장 운영을 할 수 없는 상황으로, 도내 150여개 콘크리트 제조업체의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화물연대 파업으로 시멘트를 실어 나르는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 차량의 운행이 멈춰 섰기 때문인데, 영세 업체가 많은 콘크리트 제조업체들은 비교적 작은 사일로(Silo·시멘트 저장고)를 갖고 있어 시멘트를 하루만 공급받지 못해도 제품 생산에 차질이 생긴다.

조합은 지난 일주일간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한 회원사들의 피해가 100억원을 웃돌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더욱이 파업이 언제까지 지속될지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업계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날 전망이다.

여주시에서 보강토 옹벽블록 제조 공장을 운영하는 A씨는 “제품 납기에 차질이 생기면서 일부 업체들에선 납기지연 지체상금까지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파업을 하더라도 최소한의 운영은 가능하도록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화성시의 한 배수로관 생산 업체 대표 B씨는 “매출도 문제지만, 당장 직원들 봉급 등 운영비 지출을 줄일 수가 없는 상황”이라면서 “원자잿값 인상에 시멘트 파동까지 겹치면서 업계가 악화일로에 빠졌다”고 토로했다.

이와 관련, 김식원 경기도콘크리트협동조합 이사장은 “언제까지 이어질지 모르는 화물연대의 파업으로 경기지역 중소기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면서 “정부가 빠른 해결에 나서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와 화물연대가 핵심 쟁점인 안전운임제 연장 및 확대 시행 여부를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도내 중소기업들 사이에선 사태 장기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수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