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교육위, 도교육청 질타 담당자 “반도체 수급 때문에”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가 경기도교육청이 추진 중인 ‘학생용 스마트단말기 보급사업’의 지지부진한 행정을 질타했다.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 소속 의원들은 20일 열린 제360회 경기도의회 임시회 제1차 회의에서 사업을 추진하는 도교육청 교육정보담당관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애형 의원(국민의힘·비례대표)은 이날 반도체 주요 부품의 수급 문제로 인해 스마트단말기와 관련한 회계 지출이 이월됐다는 도교육청 설명에 “모든 걸 반도체의 수급 문제로 원인을 돌린다”며 “지난해 구입해서 보급이 끝난 학교와 비교해 보급이 더딘 학교들은 불이익을 받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어 “저희가 학교 교과과정과 연계해 지난해 12월 말까지 구입해 올해 3월엔 이것으로 수업을 할 수 있게끔 계획을 세웠다”면서 “반도체 등 외부적인 요건이 있다 할지라도 이러한 부분에 대해선 적극성을 띠어서 예측한 대로 예산이 잘 집행돼야 하지 않느냐”고 집행부의 적극 행정을 주문했다.
정윤경 교육기획위원장(더불어민주당·군포1)도 비판 대열에 가세했다. 정 위원장은 “반도체 문제는 우리가 예측하고 있었던 부분이고, 2020년도에도 보급을 못했던 것 아니냐”면서 “작년도 똑같은 상황이여서 기기 문제 등을 지적했음에도 여전히 피해를 보고 있는 것은 현장의 학생”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새로운 교육감 당선인도 모든 학생들에게 스마트기기를 보급하겠다는 공약을 내셨는데, 지금 모든 학생은 고사하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한 학년도 제대로 보급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비판 수위를 높였다.
정 위원장은 “(교육기획위 소속) 위원들이 항상 선제적으로 아이들을 위해 도교육청에 요구하고 있는데, 실제론 집행부에선 그렇게 안하고 있다”며 집행부를 질타했다.
이 같은 비판에 도교육청 교육정보담당관은 이달 말까지 스마트단말기 보급사업이 마무리되며, 일부 지역만 보급이 지연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도교육청 교육정보담당관 관계자는 “반도체 수급 문제가 발생해 불가피하게 스마트단말기 집행 예산이 이월됐고, 화성과 수원 등 일부 지역만 조금 지체된 상황”이라며 “여러가지 사회 및 경제 상황하고도 맞물려 있는데, 이런 부분에서 선제적·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교육청은 지난해 1천817억원, 올해 1천429억원 규모의 예산을 들여 학교 스마트단말기 보급사업을 추진 중이다. 도교육청은 오는 2026년까지 전 학년 학생 모두가 스마트단말기를 갖도록 목표하고 있으며, 현재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대상으로 보급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