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대책반’ 4개팀 구성 24시간 운영 역학조사·환자관리·진단검사 등 만전, 분당서울대병원에 2개 격리병상 확보
국내 첫 원숭이두창 확진자 발생으로 경기도가 지역사회 확산 방지와 신속대응을 위한 비상 대응체계 가동에 들어갔다.
23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보건건강국장을 방역관으로 △총괄팀(질병정책과) △역학조사팀(감염병관리지원단) △환자관리팀(질병정책과) △진단검사팀(보건환경연구원) 등 4개 팀 22명으로 구성된 방역대책반을 24시간 운영한다.
이는 질병관리청이 전날 국내 확진자가 확인됨에 따라 감염병 위기 경고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 발표한 데 따른 조치다.
각 지자체에서는 보건소장을 반장으로 하는 역학조사반을 1개씩 총 48개 반 288명으로 구성, 도와 24시간 비상연락체계를 구축해 의심사례나 환자가 발생할 경우 내용을 공유하고 검체를 채취한다.
이에 따라 도내 의심 환자에 대한 모니터링, 확진자에 대한 격리 조치, 의료 자원 관리 및 병상확보를 맡는다.
분당서울대병원을 전담병원으로 지정해 2개 격리병상을 확보한 도는 추후 상황에 따른 추가 확보 계획도 밝혔다.
아울러 일선 의료기관에 안내문을 배포해 의심사례 및 예방 교육을 추진한다.
도는 코로나19처럼 감염병이 전국적으로 확산해 질병관리청이 감염병 위기 단계를 격상할 경우에 대비해 도지사를 본부장으로 하는 재난안전대책본부 설치도 준비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원숭이두창 대응을 위해 의료기관의 의심환자 진료 및 확진자에 대한 신속한 신고체계 유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지역별 의료계와 협조해 현장 교육을 강화하고, 의료진 안내문도 배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원숭이두창은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 및 발진성 질환이다. 감염된 동물이나 사람 또는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질과 접촉할 경우 감염될 수 있으며, 감염되면 발열, 두통, 근육통, 근무력증, 오한, 허약감, 림프절 병증 등을 시작으로 1∼3일 후에 발진증상을 보인다.
손사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