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사서원, 장애인 자립지원 정책 방향 제안…‘지역 적응’ 정책 필요

image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인천시주거전환지원센터가 지난 24일 마련한‘장애인 지역사회-자립지원 방안연구’ 최종보고회에서 연구를 맡은 전지혜 인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 인천사서원 제공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인천시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는 최근 ‘장애인 지역사회-자립지원 방안연구’ 최종보고회에서 지역을 중심으로 한 장애인 자립 정책의 방향을 제안했다고 29일 밝혔다.

장애인주거전환센터가 인천대 산학협력단과 공동으로 추진한 이번 연구용역에서는 거주·이용시설 장애인 및 종사자, 재가장애인, 장애인 가족 등을 대상으로 자립 지원정책 실태를 조사했다. 이를 통해 2024~2029년 인천시의 탈시설 5개년 계획 수립에 필요한 사항 등도 검토했다.

특히 이번 연구용역에는 장애인 자립지원을 위한 ‘지역 내 적응’ 관련 정책의 필요성이 핵심내용으로 담겨 있다. 세부적으로 거주지 인근에서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 등이다.

연구를 맡은 전지혜 인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시가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며 “이번 연구는 시가 추진하는 ‘장애인 자립지원 시범사업’과 함께 앞으로 시의 탈시설 방향을 다질 것”이라고 했다.

image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인천시주거전환지원센터가 지난 24일 마련한‘장애인 지역사회-자립지원 방안연구’ 최종보고회 토론회에서 서해정 중앙장애인지역사회통합지원센터 팀장이 발언하고 있다. 인천사서원 제공

이와 함께 이번 최종보고회와 함께 열린 토론회에서는 네트워크 구축이 화두로 떠올랐다. 정책만으로는 장애인 자립지원의 실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민간단체의 노력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서해정 중앙장애인지역사회통합지원센터 팀장은 토론회에서 장애인 자립지원에 대해 “시를 중심으로 한 민관 네트워크시스템을 구축해 사회적, 문화적, 제도적으로 혁신해야 한다”고 했다. 또 김석겸 인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 관장은 “광역과 기초지자체간 자립지원을 균형적으로 수행하고 협력구조를 갖출 때 우리가 그리는 공동체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