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구칼럼] 국민의힘 경기도당은 왜 반성하지 않는가

전국 ‘압승’에 경기 ‘패배’ 묻고 가기
공천 잡음, 원팀 실패 등 책임 많아
반성 없으면 총선까지 3연패 갈 것

국민의힘은 패배했다. 전국민이 지켜 본 도지사 선거를 졌다. 김동연 49%, 김은혜 48.9%였다. 시군의회 선거도 졌다. 민주당 208석, 국민의힘 196석이다. 도의회 선거는 비겼다. 78석 대 78석 동률이다. 시장·군수 선거에서는 이겼다. 국민의힘 22명, 민주당 9명이다. 정리하면 1승(시장·군수), 1무(도의회), 2패(도지사·시군의원)다. 전국 성적은 국민의힘 압승이다. 호남, 제주를 뺀 전 지역을 이겼다. 이래서 경기도 패배가 더 치명적이다.

처음이 아니다. 두 달 전 대선도 졌다. 민주당이 5.32%포인트 이겼다. 46만2천810표 차이다. 전국은 국민의힘이 24만7천77표 이겼다. 전국 표 차이의 두 배를 경기도에서 잃었다. 지방 선거 여건은 좋았다. 초기 정권 국민의힘에 우호적이었다. 소상공인 지원금까지 있었다. 그런데도 또 졌다. 이러자 당원들의 좌절감이 커진다. ‘경기도는 우리에게 안 되는 땅인가.’ 보수층 지지자들이 실망감도 커진다. ‘경기도 땅에 보수 정당이 있기는 한가’

자칫 만년 패배의식에 빠질 위기다. 그런데 경기도당-경기도당 위원장-은 그렇지 않은 모양이다. 지난 8일 보도자료 하나가 뿌려졌다. 김성원 도당위원장실이 낸 자료다. 예결특위 간사로 임명됐음을 알리는 내용이다. 거기에 이런 대목이 있다. “...경기도당위원장 등 핵심 요직을 맡아 대선과 지방선거를 압승으로 이끄는 등 결단력과 추진력을 증명한 바 있다.” 이 소식을 당원들이 묻는다. 무슨 결단력으로, 뭘 추진해, 어떤 압승을 했다는 건가.

패배 원인으로 여러 얘기가 나돈다. 그 속에 공천 지연, 비정상 공천이 있다. 등록 하루 전에 결정된 시장 후보가 있다. 인구 70만 그 도시는 결국 패배했다. 지지율 30%를 웃도는 후보를 제척했다. 인구 60만 그 도시도 내줬다. 이런 부작용은 도지사 선거로 이어졌다. 선대위 출범이 덩달아 밀렸다. 안 그래도 국회의원 7명, 군수 2명, 도의원 6명이 고작인 선거였다. 이런 마당에 출발까지 늦어졌다. 게다가 도당 위원장은 거기 참석도 안 했다.

(이 때 쯤 국민의힘 출입기자 ‘김부장’이 귀띔했다. ‘선거 결과에 상관 없이 도지사 캠프와 도당 위원장은 갈라 설 겁니다.’)

물론 경기도당만의 책임은 아닐 수 있다. 하지만 경기도당의 책임이 가장 컸음 또한 분명하다. 여기에 도당 위원장의 사천(私薦) 논란까지 더해 있다. 도의원 비례 대표 배정의 잡음이다. 당원 ‘홍’이 말한다. ‘아무개·아무개를 안 넣었으면 보육인 대표나 노인 대표를 넣을 수 있었다.’ 특정 지역의 군수 공천 잡음이다. 언론인 ‘이’가 말한다. ‘군수를 공천한 실세가 누구인지 알만한 사람은 다 안다.’ 두루 널린 여론의 일부다. 실제는 훨씬 많고 더욱 민망하다.

상대 민주당은 지금 난장판이다. ‘이재명 책임론’으로 파국이다. 반대파들이 면전에서 퍼붓는다. “당 대표에 출마하지 말라”(설훈 의원). “97세대 후보가 출마해야 한다”(정춘숙 의원). 박영선 전 의원은 분당(分黨)까지 경고한다. 대선에서 지고, 지선에서 졌다. ‘이재명 책임’을 촉구하는 소리다. 금방이라도 무너질 것 같다. 하지만 저런 게 정치다. 유권자 뜻을 충실히 쫓는 방식이다. 돌아선 유권자에 내 보이는 도리다. 그런 정치라야만 다시 산다.

그러니 희한하다. 기이하기도 하고. 대선에 지고, 지선에 졌다. 그런데 쥐 죽은 듯 조용하다. 아무도 ‘패배’를 말하지 않는다. 도당 위원장은 불쑥 ‘압승’을 말한다. 그러면서도 ‘당선자 대회’는 열지 않는다. 이 희한하고 기이한 정치집단이 국민의힘 경기도당이다. 저런 당에 도민은 표 ‘48.9%’를 줬다. 많은 이들은 2년 뒤엔 안 주겠다고 한다. 또 많은 이들은 22대 총선까지 3연패로 갈 거 같다고 한다. 이런 게 다 반성 없고, 책임 없어서 나오는 소리다.

主筆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