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토 정화작업 책임자 선정 장기화와 주민들 반발 ‘난관’ 백지화 가능성도 배제 못해… 市 “늦어져도 계획대로 추진”
인천시가 추진하는 ‘드림업밸리(옛 창업마을 드림촌) 조성사업’이 오염토 정화 문제로 2023년까지 멈춰서는 것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지역 안팎에선 여전히 주민 반대가 심한데다 지난 6·1 지방선거 과정에서 유정복 인천시장이 재논의 의사를 밝힌 만큼, 백지화 수순을 밟을 것이란 예측이 나오고 있다.
10일 시와 미추홀구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7년부터 사업비 727억원을 들여 미추홀구 용현동 664의3 부지 7천617㎡에서 창업지원주택과 창업지원시설 등이 들어설 드림업밸리 조성사업을 하고 있다. 시는 지난 4월 부지 내 오염토와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맹꽁이 서식지가 발견, 5월31일부터 당초 예정한 착공 등을 모두 미뤄두고 대책을 마련 중이다. 시는 오염토 정화 및 맹꽁이 이주 등을 한 뒤, 사업을 재추진할 계획이다.
그러나 최소 내년 상반기까지는 착공 등이 이뤄지기 어려울 전망이다. 오염토에 대한 정화작업을 맡을 책임자의 선정 과정 등이 오래걸리기 때문이다.
현재 구는 오염토에 대한 정화작업을 누가 책임지도록 할지 결정하는 심사 과정을 밟고 있다. 구는 시가 지난 2016년 SK에코플랜트㈜로부터 이 부지를 기부받은 뒤 오염토가 있다는 것을 언제 알았는지, 또 2004~2008년 SK에코플랜트가 이 부지에서 1차례 오염토 정화작업을 한 내용과 2014년 도시개발 당시의 토양 관련 자료 등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구는 이르면 연말, 또는 내년초에나 심사 결과를 내놓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오염토 정화작업에 대한 책임자 선정이 이뤄지더라도 수백억원에 달하는 오염토 정화작업 비용 탓에 시나 SK에코플랜트 모두 구의 결정을 받아들이지 않는 등 환경부 대상의 이의신청은 불가피하다. 만약 환경부 토양정화자문위원회 심사 과정까지 간다면 추가로 6개월 이상이 걸려 내년 상반기까지는 아예 공사가 불가능하다.
특히 시가 아예 이 사업을 백지화 할 가능성도 있다. 사업 부지 인근에 사는 주민들이 여전히 드림업밸리 사업에 대해 ‘용도변경 등의 과정에서 전혀 협의가 없었다’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 4월14일 유 시장도 선거운동 과정에서 주민들과 만나 ‘민선 8기에서 사업 추진에 대해 재논의하겠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오염토 문제 때문에 사업 차질이 장기화하는 것은 어쩔 수 없어보인다”며 “국토교통부로부터 사업계획을 승인받은 만큼, 우선은 늦어지더라도 계획대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지용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