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질 잡고 편의 높인 ‘道 전기버스’ 시동

道, 배터리 등 표준모델 기준 마련
11월까지 단기 연구정책과제 추진

경기도가 ‘대기질 개선’과 ‘전기버스 서비스 수준 제고’란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첫 신호탄으로 ‘경기도 전기버스 표준모델’ 연구에 나섰다.

도는 친환경교통에 대한 도민의 요구가 많아짐에 따라 전기버스의 성능과 편의사항 기준을 마련, 도입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복안이다.

11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이달부터 오는 11월까지 ‘경기도 전기버스 표준모델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단기 연구정책과제를 추진한다.

이번 연구는 대기 질 개선을 위한 중앙정부의 대중교통 기본계획과 함께 민선 8기 주요 도정 과제로 전기버스가 본격 도입될 것이라는 예상에 따른 것이다.

주요 연구 내용으로는 ▲전기버스 국내·외 표준검토 ▲배터리, 충전속도, 구동장치 등 전기버스 관련 기술 동향 ▲차량구조, 편의시설, 차량 성능 및 관리 등 경기도 전기버스 표준모델 기준 마련 등이다.

특히 전기버스 국내·외 표준검토는 앞서 표준모델을 마련한 서울시, 환경부를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검토한다. 서울시의 경우 지난 2019년부터 배터리 200㎾ 이상, 좌석 수 23석 이상 등 전기버스 표준모델안을 제시해 안전성, 편의성, A/S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도는 이번 연구를 토대로 전기버스 제조사의 기술 개발을 견인하고 전기버스 도입 시 버스운송업체, 운전직 종사자, 버스 이용자의 요구 사항을 등을 반영한 친환경 정책으로 전기버스 도입 활성화와 이용자 편의 증진 등을 기대하고 있다.

도는 연구 결과를 버스운송업체에 배포, 전기버스 구매(선정) 시 이를 준용토록 추진 및 활용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이번 표준모델 마련은 승객의 편의성과 안전성, 운수업자의 사업성을 고려한 것”이라면서 “지난해 도내 전체 버스 중 12%를 전기버스로 교체했으며, 오는 2026년 전체 80%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현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