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특례시, 수원역 동측 환승센터 반발 최소화 작업 착수

수원역 동측 환승센터 조감도. 수원특례시 제공

수원특례시가 수원역 동측 환승센터 건립에 따른 인근 상인들의 불만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모색한다.

13일 수원특례시에 따르면 시는 다음 달 8천만원을 들여 ‘수원역 동측 환승센터 인근 상권영향분석 용역’에 착수한다. 해당 결과는 6개월 용역 기간을 거쳐 내년 상반기에 나온다.

이 시설은 지난 2020년 11월 국토교통부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 ‘수도권광역급행철도 역사 환승센터 시범사업’ 공모에 선정되면서 가시화됐다. 당시 시는 수원역에 대한 동측 환승센터를 응모, ‘최우수역사’로 선정되면서 총 사업비 1천57억원 중 280억원을 국비로 지원받게 됐다.

버스나 철도, 지하철 등 교통수단에 대한 환승 동선을 최소화해 시민 편의를 높이는 것으로 계획된 수원역 동측 환승센터에 대해 시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 때문에 건축 규모나 착공 시점 등 세부사안은 나오지 않았으며 부지만 해당 역사의 동측 광장으로 정해졌다.

이런 가운데 현재 수인분당선 수원역 7번 출구에 위치한 해당 부지는 곡선 형태의 도로를 낀 버스정류장이 존재한다. 수원역에서 나와 이곳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시민들은 근처 상가에 들리는 등 풍부한 유동 인구로 상권 인프라를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수원역 동측 환승센터가 건설되면 이러한 동선이 차단되는 만큼 상인들의 반발이 예상되는 실정이다.

더욱이 오는 경부선, 수인분당선이 오가는 수원역은 수도권 남부순환철도망의 중심인 데다 오는 2026년 GTX-C 노선(양주시 덕정~수원역, 74.8㎞)이 지나갈 예정이면서 상권 호재가 기대되나 해당 시설로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런 탓에 시는 이번 용역으로 주변 상권 매출자료를 분석하는 동시에 교통체계 변화에 따른 유동인구를 연구하는 등 주변 상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한다.

시 관계자는 “과거 수원역 서측 환승센터를 설치할 때에도 지역 경제 침체를 우려하는 상인들의 목소리가 있었으나 현재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면서도 “수원역 동측 환승센터를 건설하기 전 구체화된 수치로 상인들을 설득하는 등 갈등 관리를 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올해 말까지 수원역 동측 환승센터의 기본계획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이정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