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국내 기준금리가 뛰고 또 뛰면서 회사도, 가계도 잠 못드는 하루가 시작됐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3일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연 1.75%인 기준금리를 2.25%로 0.5%p 인상키로 결정했다. 우리나라 사상 처음으로 ‘빅 스텝’을 밟은 셈인데, 그동안 통상적 인상 폭(0.25%p)의 두 배나 올린 유례 없는 일이다.
특히 앞선 4월과 5월에도 기준금리를 인상했던 터라 3회 연속 기준금리가 오른 상황이기도 하다. 이는 그만큼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압력이 심각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날 금통위는 “(국내 경기의) 소비 회복세가 당분간 이어지겠지만, 주요국 성장세 약화의 영향으로 수출이 둔화하면서 올해 성장률이 지난 5월 전망치(2.7%)를 다소 하회할 것”이라며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도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진단했다.
가뜩이나 얼어붙었던 부동산 시장은 이번 빅 스텝 단행으로 더욱 얼어붙을 가능성이 있다. 대출을 받았거나 앞으로 받아야 할 입장에서 ‘이자 부담’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비단 주택담보대출 금리만 봐도 추가로 오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하반기 부동산 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
기업의 어깨도 무겁다. 시설 투자 등을 위한 자금 조달을 하려 해도 은행 대출이 쉽지 않은 데다가, 대출을 받아도 이자 비용이 만만치 않아서다. 특히 대출 의존도가 높은 중소기업의 타격이 대기업보다 클 수 있다.
이미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를 상회하고, 지난달 기대인플레이션율도 3.9로 오른 상태. 시장 물가에 따라 각종 상품·서비스 가격이 높아지면 가계의 타격이 불가피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오는 8월, 10월, 11월 금통위 회의가 또 있는 상황에서 올 연말까지 기준금리 인상이 또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연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