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국민의힘이 도의회를 둘러싼 협치 갈등의 원인은 김동연 경기도지사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들은 김 지사가 협치를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않을 경우 등원거부 등 ‘보이콧’까지 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국민의힘 지미연 수석대변인(용인6)을 비롯한 대표단은 15일 수원특례시에 있는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행을 맞이한 도의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김 지사가 직접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 수석대변인은 “김 지사는 당선 초기부터 연정과 협치를 말했고, 형식적이지만 야당(국민의힘)의 인수위 참여를 제안하기도 했다”며 “하지만 연정은커녕 협치를 향해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그 책임은 오로지 김 지사에게 있다. 그는 앞에선 협치를 말하면서 뒤에선 여론을 통해 도의회를 공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실제 지난달 29일 평화부지사를 경제부지사로 바꾸는 내용의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 개정조례안’이 10대 도의회 임기 종료 하루 전에 무리하게 통과됐다”며 “국민의힘 반대로 공포는 보류됐지만, 마치 경제 위기가 심각한데, 도의회 국민의힘이 발목을 잡고 있다는 식으로 언론 플레이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날 지 수석대변인은 김 지사가 협치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을 제안하지 않을 경우 사실상 등원거부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협치는 말로 하는 게 아니다. 내 것을 상대에게 과감하게 내어줄 때 상대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김 지사가 진정 협치를 원한다면 남경필 전 도지사의 연정을 참고해야 한다”며 “경제부지사 등과 관련해 김 지사 측에 해결 방안을 달라고 했기에 분명 답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다만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면 절대로 간과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김 지사는 이날 경기도청 대강당에서 열린 ‘맞손토크’ 행사에서 협치 관련 질문이 나오자 “첫 술에 배부를 수 없다. 누군가는 협치를 연정으로 얘기 한다. 저는 낮은 단계의 정책협치부터 시작해서 신뢰를 구축하고, 이후에 조금 더 높은 단계의 협치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손사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