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학교 안전교육 축소...학생들 재난대응 능력↓ 수원 A 중학교 ‘늑장 대피’ 논란 속 현장 집합 실전 훈련 사실상 사라져 교육지원청 “적용 가능하도록 노력”
수원특례시의 한 중학교가 화재 경보 당시 일부 학급의 대피 지연 실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학부모들의 원성(경기일보 15일자 6면)을 산 가운데 코로나19 장기화로 도내 학생들이 안전교육 공백에 내몰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9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교육부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올해 1월 학년별 안전교육 최소 편성 시수를 조정했다. 초·중등학교의 경우 51→33차시로, 유치원은 51→44단위활동으로 변경했다.
아울러 교육청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안전교육 의무 이수교육 내용이 있는 경우 교육청 내 협의를 거쳐 감축하도록 권고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이 같은 기준을 학교에 안내했고, 각 학교장은 재량에 따라 비대면 토론, 사이버교육, 시청각교육 등을 통해 재난 대비훈련·교육방법을 실시 중이다.
그러나 이같이 현장 집합훈련이 지양되면서 학생들의 재난대응 능력이 뒤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된 2020년에 입학한 초등학교 3학년(현재 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3학년의 경우 2년 넘게 대면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해 대응 능력이 낮을 수밖에 없다고 학교 관계자들이 입을 모으고 있다.
도내 한 초등학교 교감은 “실전으로 하는 훈련은 사실상 사라졌다고 보면 된다”면서 “학교에선 감염병 확산이라는 위험을 무릎쓰고 학생들이 모이는 안전교육을 하지 않는 대신 유관기관에서 보내주는 동영상 등을 시청하는 형식으로 교육을 진행한다”고 귀띔했다.
실제로 ‘2022년 경기도교육청 학교안전관리 종합계획’에서도 이 같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종합계획에선 코로나19 확산으로 안전교육 등이 온라인 교육 위주로 실시돼 현장 대응역량이 저하됐다고 적시돼 있다.
도내 한 교육지원청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안전교육에 공백이 생겼고, 교육 부재 등의 염려가 된 것은 사실”이라며 “실제적인 훈련을 하지 못했고, 앞으로 진행될 훈련이 실제 상황에 적용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설명했다.
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