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한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이 의외로 흥행이 부진하다. 120만 언저리에서 한 출연 배우가 ‘가자, 200만으로!’라고 했다는데, 한 500만은 넘어야 칸의 평가에 부응하고 한류의 진전에도 조력이 되지 않겠는가.
어떤 비평가는 〈헤어질 결심〉의 부진을 “극장의 스크린으로 볼 영화가 아니라서”라고 진단했다. ‘블록버스터가 아니기에 관객들이 굳이 극장에 가지 않으려 한다, 삶과 인간의 어떤 미묘한 세부를 주목하며 그 현상의 복잡한 이면까지 드러내기에 OTT 화면에 어울려서 그렇다’는 견해가 아닌가 한다. 이분법 재단에 동의하기 어렵다. 대중들에게 밉상이 되더라도 한국의 어떤 흥행 풍토를 점검하거나, 〈헤어질 결심〉에서 그 이유를 찾든지, 아니라면 왜 〈헤어질 결심〉이 볼만한지 적극 권장해야 할 것이다.
한편 관람후기엔 이런 촌평이 있다. “기껏해야 결국 불륜극 아닌가?” 반론도 있다. “작품의 결말을 보면 그렇지 않다.” 댓글 형식의 익명 토로지만 아무래도 안타깝다. 픽션의 불륜과 현실의 불륜은 미적 거리의 개재와 관점에 따라 다르게 접근할 수 있고, 좋은 픽션의 불륜은 현실의 불륜 너머의 세계를 보여준다.
〈헤어질 결심〉은 그런 영화이며, 뭐든 그렇듯 그 부진에도 몇 이유가 있겠지만, 한국의 교육체계에서 예술향유의 커리큘럼이 영락한 사정과도 깊은 관련이 있을 것이다. 세계가 아는 대로 대학진학률 세계 최고인 교육대국 이 나라에서 중등 교과과정뿐만 아니라 대학 교양과정에서도 문학작품을 위시하여 영화 음악 회화 조각 등 예술 감상 과목이 위축을 거듭해왔고, 근년 이래 그 잔존 과목도 실용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인문계 졸업생의 취업률 저하에서 이 현상이 야기됐고, 유감스럽지만 그럴 수밖에 없다고 그대로 수용하거나 아예 관심이 없던 사람들도 있었다.
그런데, 반도체 인력양성 확대와 더불어 대학교육 지원이 다시 논의되는 이 때, 다시 물어보자. 그 저하와 일반 인문학교육 배제에 대체 무슨 상관이, 무슨 인과가 있었나? 지금도 의아하기만 하다. 아니 제대로 먹고 살기 위해서는 오히려 인문학 교육을 확충했어야 하지 않았나? 인문학 교양은 장식이나 도구가 아니다. 인문학 교양과 향수(享受)가 동반되지 않는 공리(功利)와 효용 추구는 인간을 가볍게 하고 결국 사회를 필요 이상으로 건조하고 각박하게 한다.
인간 자체가 지식과 정서와 의지가 하나로 통합돼 있는 존재, 어느 하나가 결여되거나 부족하면 가치 추구와 판단이 원만하기가 쉽지 않다. 일회성에 제한되는 인간 개체, 하지만 그 막중하고 도저한 운명의 궤적은 그 셋의 교호과정에서 결정된다. 삶의 이면과 내면도 다양하게 통찰하는 경험을 쌓아 휴머니티를 기르는 인문학이 한국 영화에서도 꽃피울 수 있도록 우리 모두 그 북돋는 환경 조성에 나섰으면 한다.
김승종 시인·전 연성대 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