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지사, 도의회 갈등 국면에 "원칙 깨는 정치 하지 않겠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원칙까지 깨면서 기존의 정치, 바람직하지 않은 측면에서의 정치의 길을 따라가지 않겠다"며 앞으로의 원칙선에서의 도정 방향을 확고히 했다.

김동연 지사는 22일 출입기자단과의 취임 첫 간담회에서 도의회와의 갈등국면 타계책에 대한 질문에 "정치적으로 풀 수 있는 것에 대해 고민을 많이 하고 있다. 제가 스스로 정치교체를 주장한 사람이고 대선의 어젠다로 만든 사람"이라며 "도의회가 개원을 못 하고 있는 상황이 개인적으로 이해가 잘 안 되지만 겸손한 자세로 진정성을 갖고 계속 대화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재명 전 지사 시절 임명된 공직자나 산하기관 간부들에 대해서는 임기를 보장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지사는 "아주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임기제공무원의 임기나 공공기관 임원의 임기는 보장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겠다"며 "중앙정부의 경우와는 다른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경기도 내에서 임기가 정해진 자리에 계신 공직자분들을 그만두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처음 실시하는 도정자문회의에 대해서는 실질적 역할과 기능을 맡길 것이라고 전했다.

김 지사는 "구색맞추기식이 아니라 실제로 역할하고 기능하는 자문회의를 만들 것"이라며 "실질적인 역할을 하도록 10명 이내로 구성하고 각각의 위원께 맞는 기능과 역할을 부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도정자문회의 의장에 도지사직인수위원장을 지낸 염태영 전 수원시장을 위촉한 것에 대해서는 "지방행정과 분권, 시민단체나 직능단체와의 협력관계, 생각의 혁신성과 진정성 그런 것에 대해 많이 존경한 분"이라며 "정중하게 부탁드렸고 고맙게 수락해주셨다"고 답했다.

끝으로 김 지사는 이재명 전 지사의 기본시리즈 정책과 관련해 "청년기본소득, 농민기본소득은 승계하겠다고 여러 차례 말씀드렸다"며 "문화예술인들이 굉장히 열악한 환경의 분들이 많은 만큼 예술인수당을 추가해 청년기본소득과 농민기본소득처럼 제한적 범위 내에서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김현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