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이 오는 2030년까지 인구 100만명을 포용할 수 있도록 생활권별 전략계획이 수립되고, 복합적 토지이용계획도 설정된다.
이와 함께 곤지암 등 역세권 4곳을 중심으로 주거·첨단산업·업무계획도 결정되고, 주거·상업 기능이 포함된 도시계획도 추진된다.
28일 광주시에 따르면 최근 시청 회의실에서 도시계획분야 전문가와 관련 부서 공무원, 주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30 도시관리계획 수립용역 착수보고회를 열었다.
해당 계획은 상급 지방자치단체인 경기도의 도시관리계획 정책기조를 수용, 변화하는 도시여건을 반영하고 불합리한 토지 이용 개선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에 따라 오는 2030년까지 광주 전체 행정구역 430.99㎢를 대상으로 기존에 결정된 용도지역·지구를 지역여건 변화에 맞춰 정비 또는 변경하고 도시기능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도로와 공원, 녹지 등 각종 기반시설을 정비한다. 또한 현재 인구 38만여명에서 오는 2030년 100만여명으로 늘어날 것에 대비한 사회간접자본 인프라 구축에도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2030 도시관리계획 수립용역은 민선8기 정책사업과 민원사항 등 현안 이슈 분석을 시작으로 입안(안) 작성, 주민 공람과 시의회 의견 청취,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오는 2024년 상반기 최종 고시될 예정이다.
방세환 시장은 “ 2030 도시관리계획은 앞으로 10년 후 광주의 미래 변화를 담기 위한 플랜이다. 진취적이고 계획적 수단을 도입해야 하는 시점인 만큼 용도지역 변경 등 도시관리계획에 대해 다양한 계층을 비롯해 다각적인 의견 수렴을 통해 내실 있게 수립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