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청각장애인복지관 완공 10년째 ‘깜깜’

市, 2013년부터 건립사업 추진...개발계획 수시로 변경되기 일쑤
금개구리 발견돼 준공 불투명...수어통역 서비스 가능 복지관 ‘0’
“내년 10월 차질없이 준공 예정”

인천 부평구에 사는 청각장애인 A씨(43)는 독서토론이나 IT 활용 등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수강하려 수년째 서울의 한 청각장애인학습지원센터로 가고 있다. 집에서 센터까지 2시간이나 걸리지만 청각장애인을 위한 프로그램을 배울 수 있는 곳이 인천에는 없기 때문이다. A씨는 다양한 교육을 받고 싶지만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복지관은 서울시민만 수용하고, 인천의 복지관들엔 수어통역이 가능한 곳이 거의 없어 선택의 폭이 좁다. A씨는 인천시가 건립한다는 청각언어장애인복지관이 완공하는 날만 10년째 기다리고 있다.

서구에 사는 고령의 청각장애인 B씨(72)는 일반 경로당을 이용하지 못해 대부분의 시간을 길거리나 집에서 보낸다. 노인들의 커뮤니티인 경로당을 찾아봤자 언어 문제로 이용하는 데 한계가 있어서다. B씨도 다른 노인들처럼 여가·문화활동 등 사회적활동을 해 활력을 찾고 싶지만 그러지 못해 우울감을 호소한다. 경로당은커녕 주변의 복지관을 찾아봐도 고령의 청각장애인들이 모여 쉴 곳은 없다.

인천지역 청각언어장애인들이 누구나 누려야 하는 복지혜택에서 소외받고 있다. 시가 추진 중인 청각언어장애인복지관 건립 사업이 10년째 제자리 걸음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28일 시에 따르면 지난 2013년부터 인천 서구 왕길동 317의3 일원 검단3도시개발사업구역 내 1천645㎡ 부지에 지하 1층~지상 3층의 연면적 2천4㎡ 규모 청각언어장애인복지관 건립사업을 추진 중이다.

청각언어장애인복지관이 생기면 언어소통의 문제로 일반 복지관에서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청각언어장애인들을 위한 맞춤형 복지가 가능하다. 지체장애인이나 시각장애인들은 종합복지관에서 각종 프로그램을 수강하거나 참여할 수 있지만, 청각언어장애인들은 전문 복지관이 없으면 수어 통역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 아직 인천에는 수어통역이 가능한 복지관이 1곳도 없다.

하지만 시가 추진하는 청각언어장애인복지관이 10년째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시가 서구 검단3도시개발사업구역 내 기부 방식으로 건립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개발계획이 여러차례 바뀌고 사후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멸종위기종인 금개구리 등이 나오면서 아직도 설계용역 중이다. 결국 지난해 완공해야 할 청각언어장애인복지관의 내년 준공도 현재로선 불투명하다.

인천지역의 청각장애인 수는 지난해 기준 2만3천237명으로 전체 장애인(14만6천331명)의 15.9%를 차지하며, 현재 2만6천명까지 늘어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인천농아인협회 관계자는 “인천지역 청각장애인들은 기대감에 부풀어 있었다”며 “이들이 할 수 있는 것은 준공을 기다리는 것 뿐”이라고 했다.

시 관계자는 “다소 지연됐지만 내년 10월 차질 없이 준공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