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무역수지가 4개월 연속 적자 행진을 이어갔다.
특히 올해 1~7월 누적 무역수지 적자액이 150억2천만달러를 넘어서면서 66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7월 수출은 지난해 동월 대비 9.4% 증가한 607억달러, 수입은 21.8% 늘어난 653억7천만달러로 각각 집계됐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46억7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 4월(-25억1천만달러)부터 4개월 연속 적자이자 그 폭도 전달(-25억7천500만달러)보다 확대됐다.
올해 1∼7월 누적 무역수지 적자액은 150억2천500만달러에 달하면서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56년 이후 66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더욱이 무역수지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6~9월 이후 약 14년 만에 4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하면서 ‘쌍둥이(재정+경상) 적자’의 늪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가 쌍둥이 적자를 기록한 것은 1997년 외환위기 당시가 마지막이다.
수입액은 작년 6월 이후 14개월 연속 수출을 상회하는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글로벌 공급망의 불안정성이 심화되면서 에너지·원자재 가격이 급등한 여파다. 특히 지난달 수입액은 에너지 수입이 급증한 영향으로 월 기준 최고를 기록했다. 월별 수입액은 올해 3월부터 5개월 연속 600억달러대를 유지 중이다.
지난달 원유·가스·석탄 등 3대 에너지원의 수입액은 작년 동월(97억1천만달러) 대비 87억9천만달러 많은 185억달러로 집계됐다. 산업부는 3대 에너지원의 가격이 모두 작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 중인 가운데 여름철을 맞아 에너지 수요가 확대되면서 수입이 급증했다고 설명했다.
에너지원뿐 아니라 우리 산업 생산을 위한 핵심 중간재인 반도체 수입도 작년보다 25.0%나 증가했고 밀(+29.1%)과 옥수수(+47.6%) 등 농산물 수입액도 큰 폭으로 늘었다.
이연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