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전자 상거래 급증에 따른 도심의 생활물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유물류망을 구축한다.
시는 1일부터 스마트 물류 구축을 위한 국토교통부 국책사업인 ‘디지털 물류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으로 공유물류망을 구축하고 당일배송 서비스를 연수구에서 시범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당일배송 서비스는 공유 거점을 활용한 V2V(Vehicle to Vehicle) 방식의 공유물류망을 통해 택배 배송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실증사업이다.
시가 구축하는 공유물류망은 도심 내 유휴 부지를 물품 정류소로 활용해 물류 창고 없이도 차량에서 차량으로 물품을 옮기는 체계다. 공유물류망에서는 물품을 유기·효과적으로 환적·배송할 수 있다. 또 정해진 노선을 순환하는 차량으로 환적·배송이 이뤄지기 때문에 당일배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보인다.
특히 시는 공유물류망의 명확한 분업화, 표준화한 노선 순환 운행,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일자리 등으로 택배 노동시장의 구조를 변화시킬 계획이다. 시는 이미 차량기사 15명, 정류소 관리자 및 조업사 5명 등 30명의 지역주민을 고용하고 관련 교육까지 끝냈다.
시범운영이 이뤄지는 구에 대해서는 도로, 지역적 특성, 가용 정류소 위치 등을 고려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4개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노선을 설계했다. 이를 통해 2대의 지역 순환차량은 중구 항동(옛 롯데아울렛팩토리 인천점 운영센터)에 있는 광역정류소에서 화주로부터 물품을 넘겨받은 광역 순환차량을 만나 배송물건을 분류한다. 이후 물품을 옮겨 실은 뒤 지역정류소로 이동해 최종 배송차량(라스트 마일)에 물류를 전달한다. 최종 배송차량은 다시 4개의 구역을 3시간마다 순환하며 1일 3회 배송을 한다.
이와 함께 시는 당일배송 서비스의 고도화를 위한 리빙랩을 발족·운영하고 인천e음 플랫폼 내 인천직구에 가입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당일배송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리빙랩의 분석을 토대로 사회·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단계적으로 당일배송 서비스 대상지역을 늘려 배송물품의 공급 기회를 확대한다.
김원연 물류정책과장은 “이번 당일배송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생활물류 급증에 따른 각종 문제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소상공인 유통경쟁력 확보, 당일배송 생활권 구축, 신규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도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