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그동안 기술인력과 인프라 부족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던 환경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경기도형 환경서비스업 지원 시스템’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도는 도민에게 최적의 환경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환경보전과 경제발전이란 두 마리 토끼를 잡는다는 구상이다.
4일 경기도에 따르면 환경서비스업은 환경전문공사업, 측정대행업 등 환경보전 활동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도내에는 지난해 기준 797개소가 있다. 이는 지난 2015년 대비 40% 증가한 수치다. 전문공사업 수주 실적은 지난 2020년 기준 약 1.6조원으로 지난 2015년 대비 49%(1.1조원) 늘었다.
이처럼 매년 도내 환경서비스업 시장 규모가 증가하는 가운데, 도내 업체 대부분이 자본금 10억원 미만으로 영세한 데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특화 지원과 육성 제도가 미흡해 부실시공이나 자격증 불법 대여 등의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앞서 도 특사경은 지난 2020년 환경전문공사업 무등록 불법시공 등 38건을 적발한 바 있다.
이에 도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경기도형 관리시스템을 구축해 환경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도는 소규모 업체 난립과 경쟁적인 저가 수주로 인한 부실시공 등 불공정 행위를 예방하기 위해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과의 합동점검으로 단속 사각지대를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우수 관리기업은 서면점검으로 대체하고, 다수 적발된 기업 위주로 집중 점검을 하기로 했다.
아울러 환경서비스업이 고위험, 저임금 업종으로 인식돼 전문인력 양성이 어려운 만큼 환경분야 취업준비생에게 기업체 연수 경험 및 자격 취득, 미래직장 체험 프로그램 등을 준비했다. 미래직장 체험의 경우 환경관련 학과생 등 대상으로 학사과정 동안 5개월간 연수를 실시한다.
이와 함께 환경서비스업 등록 사무처리에서 발생하는 관리비용을 절감하고자 온라인 등록 시스템을 구축하는가 하면, 우수 환경서비스 업체를 선정 및 표창해 시장의 공정성과 기술력을 높이기로 했다.
김상철 도 환경안전관리과장은 “이번 기회를 통해 수요자들에게 저비용으로 최고의 환경서비스를 지원해 선순환 환경산업 구조를 실현하겠다”며 “도내 환경서비스 기업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