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9일 전국위원회와 의원총회를 잇따라 열어 5선의 주호영 의원(대구 수성갑)을 비대위원장으로 임명하는 안건을 의결, 정권을 잡은지 3개월 만에 비대위 체제로 전환했다. 하지만 이준석 대표는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 등 법적 대응을 예고하면서 오는 13일 기자회견을 하겠다고 밝혀 여당의 내분 양상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전국위를 열어 당 대표 직무대행이 비대위원장을 임명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당헌 개정안을 통과시키면서 비대위 체제 전환을 위한 당헌 개정을 마무리했다.
전국위가 코로나19를 고려해 비대면 방식으로 오전 총 3회에 걸쳐 당원들을 상대로 ARS(자동응답) 투표를 진행한 결과, 위원 정수 총 707명 중 509명이 투표에 참여해 의결정족수의 과반(354명)이 넘는 457명이 찬성 투표를 했다. 반대는 52표에 머물렀다.
이어 오후 2시에 열린 의원총회에서 권성동 당 대표 직무대행은 주 의원을 비대위원장으로 공식 발표한 뒤 의원들의 추인을 받았다. 비공개로 열린 화상 의원총회에는 당 소속 의원 115명 중 73명이 참석했다고 양금희·박형수 원내대변인이 밝혔다.
국민의힘은 전국위 회의를 오후 3시 30분부터 재개해 ARS 방식으로 주호영 비대위원장 임명 안건을 의결, ‘주호영 비대위’ 출범이 확정됐다.
비대위원장 임명 절차가 완료됨에 따라 동시에 최고위원회의는 공식 해산됐으며, ‘자동 해임’된 이 대표는 당원권 정지 6개월 징계가 끝나도 대표직 복귀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주호영 비대위’의 항로는 이 대표가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등 법적 대응을 포함한 총력 저지에 나설 경우, 순탄치만은 않을 전망이다.
이 대표가 오는 13일 기자회견을 예고한 가운데 이 대표와 가깝고 비대위 전환을 강력하게 비판했던 김용태 청년최고위원(광명을 당협위원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이 순간 무엇이 국가와 국민 그리고 당을 위해 중요한 것이지 고민했다”면서 “저는 효력정지 가처분은 신청하지 않겠다”고 밝혀 다소 기류 변화가 있음을 시사했다.
또한 당권 주자들 간 비대위 활동 기간과 관련, 조기 전대를 염두에 둔 ‘2개월’과 내년 초 전당대회를 염두에 둔 ‘최소 5개월 이상’으로 의견이 나뉘고 있는 점도 비대위가 조율해야 할 과제로 여겨진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