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작년 설명회 등 설득 나섰지만...주민들 폭발 위험 등 우려에 반대 송도발전소는 사업허가도 못 받아 “설명 부족… 수용성 확보에 최선”
인천시가 민간사업자 등과 추진 중인 일부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립 사업이 주민 수용성 확보에 실패하면서 백지화할 위기다. 이로 인해 오는 2026년 인천지역 내 10만 가구가 열·전기 공급 등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9일 시에 따르면 사업비 8천575억원을 들여 2025년까지 연수구 송도동 액화천연가스(LNG)기지 3지구(2만2천㎡)에 100㎿ 규모의 ‘송도그린에너지 발전소’를 짓는 것을 비롯해 내년까지 남동구 고잔동 658의8(2천815㎡)에 20㎿ 규모의 ‘남동하이드로젠밸리 발전소’ 등을 짓는 사업을 하고 있다. 이와 함께 내년까지 서구 가좌동 178의466 2천657㎡에 19.8㎿의 ‘인천도시가스 발전소’를 건립할 예정이다.
그러나 연수구와 남동구의 발전소 건립이 인근 주민들의 반발 등으로 인해 장기 표류하고 있다.
시는 송도그린에너지 발전소 예정 부지 인근 주민들의 수용성 확보를 위해 지난해 7월과 12월 2차례의 주민설명회를 했다. 또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까지 9차례의 주민협의체 회의 등을 해 안전성 등을 설명했다. 하지만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폭발 위험성 우려·지역가치 저하 등에 대한 주민들의 반대에 계속 부딪히고 있다.
이로 인해 당초 지난달부터 착수했어야 할 송도그린에너지 발전소의 발전사업허가 및 환경영향평가 등은 아예 시작도 하지 못했다. 시는 당초 내년 1월 예정이던 착공 시기를 잠정 미뤄두고 있을 뿐이다.
또 시는 남동하이드로젠밸리 발전소 인근 주민들을 대상으로도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2월까지 7차례 주민설명회를 했지만 안전성 등의 문제로 주민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시는 지난 1월에 진행했어야 할 발전사업 관련 인·허가 절차를 밟지 못해 연내 착공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시 관계자는 “현재로써는 그동안 해온 주민설명회나 주민협의체 회의 등만 반복할 수밖에 없다”며 “주민 수용성 확보에 수년 이상이 걸리거나, 결국 수용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사업 자체가 불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특히 이 같은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립 차질로 인해 오는 2026년부터 연수구 및 남동구 지역 9만6천 가구에 열·전기 공급 차질이 불가피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들 지역에 지속적으로 인구 등은 늘어가는데도, 열 필요량인 121만G㎈ 중 32만G㎈를 생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아직 주민들에게 수소연료전지 발전소의 안전성과 전력생산 효율성 등에 대한 설명이 부족했던 것 같다”고 했다. 이어 “다음달 산업통상자원부와 주민 공청회를 열고 종전 주민협의체도 확대하는 등 주민 수용성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지용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